최근 3년간 지역에서 아동학대 신고접수건이 연평균 168건으로 나타나 경주지역만을 전담하는 아동보호 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아동학대 통계자료에 따르면 아동학대신고로 접수된 건수는 2020년 155건, 2021년 200건, 2022년에는 150건으로 조사됐다. 최근 3년간 연평균 신고건수가 168건으로, 이틀에 한 번 꼴로 아동학대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이중 실제 학대유형으로 확인된 것은 2020년 신체학대 33건, 정서학대 45건, 성(性)학대 5건, 방임 20건으로 총 103건이 나타났다. 2021년에는 신체학대 58건, 정서학대 47건, 성학대 6건, 방임 23건 등 총 134건, 2022년에는 신체학대 22건, 정서학대 14건, 성학대 7건, 방임 6건, 중복학대 29건 등 총 78건이 아동학대로 확인됐다.
이를 분석하면 2020~21년에는 신체학대와 정서학대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2022년에는 3개 이상 여러 가지 학대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중복학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책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경주에서는 경북남부아동보호전문기관이 아동학대를 사례관리하고 있지만, 이곳에서 경북 남부지역 6곳(경주, 경산, 군위, 영천, 의성, 청도)까지 모두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기관 종사자들이 담당하는 아동학대사례가 1인당 46~50여건에 달해 효율적인 대응이 어려워 지역만을 전담하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설립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특히 경주는 읍·면·동 간 거리가 멀고 상담을 할 수 있는 장소도 없으며, 학대자들 대부분 공격적 성향이 강해 상담을 거부하는 경우도 많아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더욱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경북남부아동보호전문기관 김병구 관장은 “지역에서 신고접수건과 아동학대피해 건수, 신고되지 않은 경우까지 더하면 지역만을 전담할 수 있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생겨야 한다”며 “경주지역은 경북내에서도 아동학대피해가 상위권에 속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라도 전문기관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양산시와 진주시의 경우 경상남도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전담하고 있었지만 지난 2021년과 2022년 각 지역별로 개소해 사례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