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경주엑스포대공원을 경북문화재단으로 통합하는 등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을 추진하자, 경주시의회와 시민단체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13일 경영 효율화를 목적으로 14개 산하 공공기관을 5개로 줄인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문화 분야에서 경북문화재단을 중심으로 경주에 있는 문화엑스포와 경북콘텐츠진흥원을 통폐합하기로 했다. 하지만 경주엑스포대공원의 성격을 고려하지 않은 경북도의 일방적인 구조조정 방침이 알려지면서 지역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것. 경주시의회 문화도시위원회는 지난 19일 “경주엑스포대공원은 경주시가 절반의 지분을 갖고 있는 만큼 경북도가 (재)문화엑스포를 일방적으로 통폐합해서는 안된다”며 통폐합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날 경주시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이진락 문화도시위원장은 “(재)문화엑스포에 경북문화재단이나 경북콘텐츠진흥원이 통합돼 경주엑스포대공원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다른 기관의 사용은 경주시의회가 절대 불허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경북도의 산하 공공기관 구조조정 과정에 경주시가 이 같은 점을 경북도에 잘 설명해 달라”고 경주시에 주문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의 이 같은 입장에는 엑스포 문화센터, 경주타워 등 경주엑스포대공원의 토지와 건축물이 경북도와 경주시가 각각 50%씩 지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주엑스포대공원 사용을 위해서는 경북도가 경주시로부터 무상사용허가를 얻어야 하고, 이는 시의회의 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경주시의회가 경북도의 공공기관 구조 개혁에는 개입하지 않겠지만 (재)문화엑스포 이외의 기관이 엑스포대공원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절대 불허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이다. 이진락 위원장은 “(재)문화엑스포 구조조정은 경북도 권한으로, 경북도가 알아서 할 일”이라면서도 “경주시의회는 부지사용 동의권한이 있어 타 재단 혹은 기관사용은 절대 불허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경주지역 사회단체인 (사)천년미래포럼은 지난 17일 성명서를 통해 “명분 없는 경주엑스포대공원 통폐합에 강력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단체는 “경주엑스포대공원의 경우 지난 1998년 문화예술을 주제로 세계최초로 열린 국제엑스포로 첫 회부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곳”이라며 “지난 20여년간 세 번의 해외엑스포와 7번의 국내 엑스포행사로 경북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 전문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주시민의 자부심과 자존심이 곁들여 있는 경주엑스포대공원을 경주시민의 의견을 들어보지 않고 일방적으로 통폐합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행정편의’를 넘어 ‘행정독재’나 마찬가지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제적 수익 잣대로만 따질 수 없는 것이 문화예술 콘텐츠”라며 “경주엑스포대공원에 대한 통폐합이 필요하다면 경주시민을 대변하는 시의회와 지역 문화예술 단체 등과도 객관적이고 투명한 협의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천년미래포럼은 또 “경주엑스포대공원은 경상북도의 소유가 아니라 그 절반을 경주시가 가지고 있는 경주시민의 자산”이라며 “경상북도의 일방적이고 명분없는 경주엑스포대공원에 대한 문화재단 통폐합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