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석산 마애불상군 사유상(思惟像)의 깊고 깊은 고뇌(苦惱) 11월 2일. 경주박물관대학 문화재답사일행에 끼어 단석산 마애불상군으로 향했다. 따스한 햇살에 우중골을 1시간쯤 올라가니 재건축 공사가 한창인 신선사가 보였다. 햇살에 뭔가 번쩍번쩍 하길래 고개를 돌려보니, 석굴 마애불상군을 덮어 씌우고 있는 육중한 철구조물과 상단부에 반원모양의 유리덮개가 눈에 확 띄었다. 단석산 마애불상군은 충북 충주시 가금면 봉황리 햇골산 마애불상군과 유사점 많고, 일반적인 마애불은 독존불(獨尊佛)이거나 삼존불(三尊佛) 형식인데, 이 두 마애불군은 수많은 보살이 군집을 이룬 특징이 있다. 두 마애불군은 공히 사유상(思惟像)을 중심으로 한 불보살군(佛菩薩群)과, 여래(如來)를 중심으로 한 공양상(供養像) 두 군집으로 나뉘어 있다. 그런데 경주 단석산 마애보살군 유적은 네 개의 거대한 암석이 東南北 三面에 병립되어서 천연의 ㄷ자형 석실(石室: 지금은 윗 지붕이 없어지고, 발굴조사시 기와 조각등이 발견 되었음)을 이루고 있으며, 각 면에 불상들이 도합 열 구가 부조되어 있다. 南면 하단에 20행으로 각 행 19자씩 합계 380字의 陰刻銘文이 있는데, 마멸이 심하여 절반 가량 해독된 銘文에 의하면 "神仙寺"라는 사찰명은 육안으로도 확인 되고, 탁본하면 "作彌勒石像一區高三丈菩薩二區" 글귀에 의하여 미륵삼존불(彌勒三尊佛)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신기하게 답사한 지 며칠이 지난 아직까지도 ㄷ자형 암석中 바깥쪽(서편) 북암(北巖)에 새겨진 사유상(思惟像)의 고뇌(苦惱)하던 모습이 선명하게 떠 오른다. 높이 1.1미터로 三山冠을 썼으며 원형 頭光이 있고, 빰에 댄 오른 손가락들은 매우 서투르며 왼손도 윤곽만 표현한 섬세하지도 않은 치졸한 맛을 느끼게 하는 사유상(思惟像). 그런데 그 사유상을 향하여 보살상들 세 구가 두 손으로 사유상을 가리키면서 병렬해 서 있다. 좌측 하단부에 조그만 여래입상 한 구가 있고, 특이 한 것은 사유상 바로 밑에 미륵본존(彌勒本尊)을 향해 한쪽 무릎을 꿇고 병향로(柄香爐)와 수지(樹枝)를 각각 받들고 공양하는 두 인물이다. 우리 경주엔 신라유적은 많아도 정작 그 시대 사람들의 옷차림은 알 수가 없었는데, 머리에 긴 고깔 모양의 모자를 쓰고 저고리와 통바지 차림의 이 작은 두 공양상(供養像)은 古신라 의복 연구에 아주 소중한 사료란다. 그리고 사유상 왼쪽의 세 불보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 여래입상은 둘 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右肩偏袒) 차림인데, 이러한 우견편단의 착의법은 중국 수(隋)나라 때 유행하는 것이어서 단석산 마애불군은 7세기 초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단다. 단석산 마애불군 유적은 `미륵삼존`과 `신선사`의 銘文기록으로 볼 때 신라 화랑도와 관계있는 미륵도장으로 추정된다. 화랑도는 신선(神仙)을 숭상하는 풍류도로서 `신선`을 불러 `미륵선화`라 하였고, 신선(神仙)=미륵선화(彌勒仙花)=미륵불(彌勒佛)=화랑(花郞)의 상관관계가 추론된다. 그러므로 단석산 유적에 보이는 미륵불과 공양상은 바로 화랑과 낭도(郞徒)들이 미륵상을 향해 공양하고 신봉하는 장면으로 해석되곤 한다. 미륵불은 미륵하생(彌勒下生)사상을 나타내고, 사유상의 보살은 미륵상생(彌勒上生)사상을 나타낸단다. 즉 "인간세계에의 하생신앙과 도솔천으로의 상생신앙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하나가 되어 미륵(彌勒)신앙을 완성한다"는 불교문화재 초보자인 나로서는 이해하기 힘들어 그저 어렴풋이 고개만 끄떡이는 그런 깊은 뜻이 있단다. 신라에는 도교의 신선사상(神仙思想)과 불교의 미륵신앙(彌勒信仰)이 융합하여 현세적 색채가 강한 풍류도(風流徒), 즉 화랑도가 성립되었다고도 한다. 단석산 마애보살군은 고대사의 사상적.문화적.미술사적 연구가치가 높은 소중한 유적이다. 사실 단석산(斷石山)은 조선시대부터 `김유신이 보검으로 돌을 베었다`는 전설과 함께 붙여진 이름이고, 원래 신라시대에는 월명산(月生山)이었다는 안내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천천히 유적을 둘러보던, 그 날 답사에 참석한 120 여명의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지적한 것은 철구조물과 유리덮개였다. 원래 목조기와 지붕의 석굴(石窟)유적이었는데, 지금의 철구조물은 문화재 초보자들이 보기에도 너무나 어색함을 금방 알 수가 있다. 마치 고속전철 신선사역(?)으로 착각케 한다. 양북의 골굴암에도 비슷한 구조물(?)이 세워졌다니 더 안타깝다. 바위를 굴착하고 시멘트로 땜질하여 임시방수공사까지 한 철구조물은 하루빨리 철거하는 것이 문화재를 살리는 지름길이다. 철구조물 시공과정에 고증하고 심사했던 문화재위원들이 과연 한번이라도 이 현장을 와보았는지 안 믿어진다. 천 수 백년을 견뎌왔고 앞으로도 수 천년의 풍파를 견뎌내어야 할 소중한 문화유적에게 제대로 고증된 목조기와지붕을 되찾아주자. 고졸(古拙)한 맛보다는 치졸(稚拙)한 맛이 더 풍기지만, 어리석은 후손들의 어설픈 보수공사에 마음 속으로 눈물을 흘리면서 깊이 깊이 苦惱하는 그 사유상(思惟像)의 모습이 아직도 눈앞에 선하다. `不調和`를 과감히 걷어내고 아름다운 목조기와지붕을 만들어 `調和의 美`를 갖춘 단석산 마애불상군을 꾸미고, 사유상(思惟像) 얼굴에 밝은 미소를 찾아드리게 해 줄 날은 언제쯤 찾아오려나...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