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5만명을 육박하고, 경주에서도 2월 들어 지난 8일 기준 1139명이 발생하는 등 가파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급격한 방역체계 전환으로 시민들은 혼란스럽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0일부터 재택치료를 60세 이상 고령자와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중심으로 하는 방역체계로 전환했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무증상·경증 환자는 의료기관의 관리를 받지 않으며 필요할 경우 병원에 연락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건강모니터링과 재택치료 키트 제공 대상에서도 제외했다. 또 확진자와 함께 격리돼 온 동거가족은 의약품 처방·수령 등 필수적 외출도 허용된다. 동거가족에 대한 추가 7일 격리도 폐지된다. 역학조사도 확진자가 직접 인터넷에 동선을 밝히는 방식으로 바뀌고, 확진자 관리를 위한 GPS 이용 앱도 폐지했다. 이번 방역체계 전환의 핵심은 재택치료 모니터링 체계를 고위험군 위주로 개편하고, 역학조사를 간소화한 것이다. 이 같은 전환은 의료 자원이 한정돼 있는 만큼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등 중중·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치료에 집중하는 것으로 불가피한 조치로 보인다. 다만, 경주에서도 확진자수가 예상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재택치료자도 8일 기준 611명에 이르고 있다. 재택치료자들 중에서는 보건소 업무의 과부하로 적절한 안내를 받지 못하거나 재택치료 키트를 제때 지원받지 못했다는 등의 불만도 조금씩 나온다. 게다가 확진자수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 불 보듯 뻔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관리군’ 환자들이 아무런 의료적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아예 방치되는 것이 아니냐 하는 마음에서다. 경증 환자라도 갑자기 증상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과 경주시는 지금이라도 향후 예견되는 최대치의 병상확보와 의료체계를 꼼꼼하게 점검해 부족한 점을 보완해나가야 한다. 특히 무증상·경증 환자들이 몸 상태가 나빠지면 언제든지 상담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일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현재 중중 환자 발생율이 높은 델타 변이와 같은 변이가 다시 오지 않는다면, 오미크론이 코로나19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번 방역체계 전환으로 시민들의 자율과 책임이 더 커졌다. 그런 만큼 시민 스스로 백신 접종과 거리두기 등 방역 수칙을 준수해 코로나 극복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