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직원들의 파업 예고로 자칫 쓰레기 대란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소각장은 대응 계획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원회수시설을 운영하는 ㈜경주환경에너지 소속 민주노총 노조원 26명은 사측과의 임·단협이 결렬되자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2일 경고 파업에 이어 3일부터 게릴라 파업을 진행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달 30일 쓰레기 소각장 설비부품 이상으로 가동이 중단되자 당초 2일부터 예정이었던 파업을 일주일 연기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설비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파업 강행 시 파업 동력이 떨어지고 시민 불편이 커질 것으로 판단됐다”면서 “설비가 정상화된 이후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노조가 시민 불편에도 파업을 강행하려는 이유는 임금과 민간위탁 때문이다.
노사는 임·단협에서 양측 모두 기존 3조 2교대에서 4조 3교대로 전환에는 동의했다. 하지만 임금과 채용에서 의견차를 보이며 협상이 결렬됐다. 노조 측은 일 8시간 근무에 따라 감소하는 임금보전과 주간 근무자의 감소하는 임금 보전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노조는 소각장 민간위탁 철회와 경주시 직접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3조 2교대에서 4조 3교대로 전환할 경우 교대 근무자는 월평균 65~72만 원, 주간 직원은 평균 30만 원을 삭감해야 한다고 밝혀 협상은 결렬됐다. -파업 대책은? 노조는 소각장 설비가 정상화되면 본격적인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히고 있다. 경고 파업에 이어 게릴라 파업까지 돌입하게 되면 소각장 운영은 사실상 힘들게 된다. 노조가 가입한 민주노총 공공연대 경주환경에너지 분회는 전체 현장 근로자 28명중 26명 가입돼 있다. 이들이 파업을 강행하면 현장 운영 인력부족으로 소각장 가동중지는 막을 수 없는 상황이다.
소각장 관계자는 “하루 평균 120톤에서 130톤 정도 처리하는 소각장에서 파업이 발생하면 바로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파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천군매립장에 임시 매립 후 다시 소각, 사설 소각장 위탁처리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에도 부분파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한편 경주시 자원회수시설은 지난 2013년 서희건설(51%)과 동부건설(39%, 동일종합건설(10%)이 출자한 ㈜경주환경에너지가 민간투자방식으로 380억 원을 들여 조성했다. 경주환경에너지는 2013년부터 2028년까지 15년간 운영 예정이다. 하지만 최소운영수익보장이 없는 BTO사업으로 수익성 떨어진다며 최대지분을 가진 서희건설이 지난해 매각을 검토하기도 했다. 자원회수시설 1일 쓰레기 소각량은 평균 120~130톤으로 시는 연간 50~60억 원 비용을 지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