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교감을 통해 힐링할 수 있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우양미술관 제3전시실에서 오는 10월 31일까지 ‘감각의 숲’ 전시가 펼쳐지고 있는 것. 이번 전시에서 김원정, 김지선, 에이블네이처(김지수, 신승재, 오세민), 조성연, 최성임, 포브먼트(이평등, 이표정, 이혜지, 조민혁), 프로젝트 데얼비(박소희, 임지숙, 하수민) 작가는 자연의 외적 모습을 재현하거나,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을 소재로 한 회화, 사진, 설치, 미디어 등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장기화된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과 거리두기 시스템은 우리에게 외부세계를 인지하는 수단인 감각마저 위축된 삶을 강요하고 있다. 이에 우양미술관은 전세계적인 도전으로 인해 극도로 제한된 인간의 감각에 애도를 표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고찰에서 이번 전시를 기획하게 된 것이다. 잡초라는 야생화를 통해 존재적 가치로서 본질에 관해 물음을 던진다면, 저마다의 시각에 따라 잡초의 정의와 분류는 달라질 것이다. 서로 다른 기준의 가치판단이 하나의 존재 가치를 결정지을 것이다. 과연 그런 행위는 옳은 것인가? 김원정 작가는 작품 ‘잡초 그 의미 없음에 대하여’를 통해 자연을 마음대로 분류하는 인간의 판단에 의문을 던진다. 식물을 만지면 소리가 난다. 소리로 식물과 교감할 수 있는 에이블네이처의 작품 ‘소리 심기’는 사람의 미세전류와 신물의 미세전류가 만나 사운드로 변환되는 뉴미디어 아트다. 사람들의 욕심 때문에 식물들이 자연에서 실내로 들어왔고, 사람들이 식물을 진정한 반려 존재로 생각한다면 식물들이 필요한 것은 과연 무엇일까? 사람과 식물의 반려 관계에 관한 고민으로 시작된 포브먼트의 작품 ‘식물산책’은 독특한 컨셉으로 반려 식물을 흥미롭게 표현하고 있다. 이번 전시 ‘감각의 숲’에서는 작가들의 신작은 물론 구작, 인터뷰, 스크랩된 기사 등 출판물 등 참여작가 7팀의 아카이브를 감상할 수 있다. 또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자연 예술가 : 내가 만든 자연 꽂이 △상상의 숲 : 나의 작은 세상 등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우양미술관 측은 “인간의 미적 역사는 자연을 타자로 인식한 것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오늘날 예술가들은 자연이 지닌 내적 가치 자체를 닮고자 하는 실천적 모방의 형태인 생태 심리학 적인 태도로 점차 변하고 있다”면서 “이번 전시를 통해 인간을 둘러싼 자연을 느끼는 방식에 집중하고 자연이 지닌 순환과 에너지를 인간의 성장과 치유로 전환하길 제안한다”고 했다. 이어 “인간의 감각을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중요한 방식임을 잊지 않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숲은 우리의 정서를 돌보고 면역력을 증진, 활력을 재충전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친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코로나 시대의 ‘숲’, 이번 전시를 통해 자신을 둘러싼 자연의 세계를 감상하고 자신만의 숲을 상상해 보는 건 어떨지. 전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입장마감 오후 5시 30분)며, 코로나19로 인해 전시 해설 프로그램은 별도 안내시까지 잠정 중단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