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등록 외국인의 32%를 차지하고 있는 고려인들의 권익보호 및 생활개선을 위한 지원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김순옥<인물사진> 의원은 지난 13일 열린 제261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경주시에 등록된 외국인 1만4000여명 중 고려인은 4500여명으로 약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의 평균 거주기간은 2.24년이며, 체류기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비율은 82.4%로 장기간 정주하기를 원하고 있다. 김 의원은 “고려인은 현재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우리 동포”라며 “구소련의 붕괴로 인해 현재 많은 고려인 후손들이 새로운 삶을 영위하고자 모국으로 돌아오고 있으나, 우리의 무관심으로 어려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모국으로 왔지만 외국인도 다문화가정도 아니어서 여러 가지 혜택에서 제외돼 모국의 따뜻한 정을 느끼지 못하며 살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영유아 자녀교육에 있어 다문화가정과 한국인들은 전액 국가가 지원하지만, 고려인들은 개인이 월 약 40만원의 보육료를 지불해야 된다”며 “가계소비에 많은 비중을 차지해 경제적 부담으로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지 못하는 가정이 대부분”이라고 강조했다. 또 “학생들은 언어 소통, 노인들은 우리 사회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이에 김 의원은 “동포인 고려인에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및 문화교류 사업을 추진해야 하며, 기초적인 생활안정을 위한 인도적 차원의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경주시가 △고려인 영유아를 위한 보육시설 보육료 지원 사업 △고려인 청소년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노인들을 위한 고려인 쉼터 조성 등 지원 사업을 추진해 줄 것을 제안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고려인들은 150여년을 유라시아에서 떠돌면서 스스로를 카레이스키 ‘한인’이라고 부르며 민족의 자긍심을 지키려고 애썼던 사람들이다”며 “이제라도 최소한의 지원과 예우방안을 반드시 마련해서 추진해 고려인들이 경주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며 살 수 있도록 따뜻한 손길을 내밀어 줄 때”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