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모 신문 칼럼에 하버드 대학생의 ‘공부 비법’이 소개된 적이 있다. 이 비법이라는 것이 대단한 것이 아니고 ‘바로 10일 먼저 해치우기’였다. 이렇게 일을 처리하면 남아 있는 기간 동안 여유를 가지고 계속 다듬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처럼 아둔한 사람이 이 하버드생의 공부비법과 비교를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으나 원고 작성 등의 일을 미리 처리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점은 좀 닮은 것 같다. 치술령에 대해 원고를 작성해야 할 기한이 두어 달 여유가 있지만 신발끈을 조이고 치술령으로 향했다. 지금까지 4-5차례 다녀온 적이 있는데, 현직에 있을 때 녹동에서 정상으로 올라가는 코스를 따라 두어 차례 다녀왔다. 당시에는 그냥 친구와 어울려 등산을 한다는 생각으로 찾았었다. 이후 문화재 답사를 목적으로 울주군 만화리에 있는 박제상 유적지를 출발하여 법왕사를 거쳐 올라가고, 또 한번은 은을암 쪽으로 오른 적이 있다. 오늘은 다시 박제상 유적지를 거쳐 치술령을 오르기로 했다. 이 길 외에도 옻밭 마을에서 바로 능선을 따라 오르는 길도 있다. 치술령(鴙述嶺)은 지술령, 지실령이라고도 하는데, 외동읍의 석계리, 녹동리와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의 경계에 있는 높이 765m의 고개이다. ‘치(鵄)’는 솔개를, ‘술(述)’은 수리 즉 독수리, 참수리 등 수리과의 새를 지칭하는 용어로 맹금류를 총칭하는 명칭이라 할 수 있겠다. 또 영(嶺)은 고개를 의미하니 치술령은 솔개 등의 맹금류가 살고 있는 고개이다. 지금은 볼 수 없지만 오래전 이 산에는 맹금류인 솔개가 많았던 것일까? 먼저 만화리에 있는 박제상 유적지를 찾았다. 울산시기념물 제1호로 지정된 박제상유적지는 크게 충렬공박제상기념관과 그 뒤쪽의 박제상추모비 그리고 그 동쪽으로 치산서원이 있다. 박제상과 치술신모가 된 그의 부인을 기린 사당터에 세운 서원이다. 이곳에서 치술령 정상으로 향하는 길은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다. 충효사를 지나 법왕사까지는 시멘트 포장길이다. 법왕사 아래에 주차가 가능한 공간이 있으나 차량 통행을 금한다는 경고판이 있다. 충효사는 박제상과 그의 부인 그리고 딸들을 기린다는 의미에서 절 이름을 그렇게 했을 듯하고 법왕사의 ‘법왕’은 부처님을 지칭한다. 그런데 법왕사 마당에는 가운데 천수천안관음과 그 좌우로 좌상 또는 입상의 33관음상이 장관이다. 법왕사가 아니고 관음사라는 명칭이 더 어울릴 것 같은 사찰이다. 산 정상 가까이 올라서면 울산 쪽의 망부석이 있다. 주위로 널찍하게 전망대를 조성해두고 그 아래 바위 면에 ‘망부석(望夫石)’이라는 글자를 음각해 두었다. 울산 쪽 망부석에서 북쪽으로 100m 떨어진 곳에 박제상의 부인이 무사귀환을 기원하며 치성을 드릴 때 마셨다는 ‘참새미’라는 샘터가 있다. 물은 깨끗하지만 낙엽이 수북해 그냥 마시기가 어렵다. 이곳에서 10여분 정상으로 오르면 경주 외동 쪽 망부석이다. 동해가 한눈에 들어오니 부인이 이곳에서 딸들과 함께 왜국에 간 남편을 하염없이 바라보았을 것 같다. 그런데 박제상 부인의 친정이 울주군 만화리이다. 남편을 그리던 부인이 바위가 되었다는 설화를 생각하면 울산 망부석이 맞을 듯하지만 실제 산을 올라보면 동해를 바라보는 위치로는 경주 망부석이 더 그럴듯하다. 이 고개 위에는 치술신모가 되었다는 박제상 부인을 기리는 신모사지가 있다. 그리고 기우제를 지내던 기우소가 있었다는데 그 흔적은 찾을 수 없었다. 이곳에서 이정표를 따라 4.4Km를 내려가면 은을암에 이르게 된다. 이 암자는 통도사의 말사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신라 시대의 고찰로 알려져 있다. 박제상의 부인이 치술령에서 남편을 향한 그리움이 사무쳐 육신은 망부석이 되고 그 영혼이 새가 되어 이곳 바위굴로 숨어들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새[乙]가 숨은[隱] 곳에 자리한 암자라고 해서 은을암이라 한다. 좁은 비탈면에 요사채, 무설당, 영산전, 삼성각, 극락전, 범종각이 제비집처럼 아슬아슬하게 둥지를 틀고 있다. 특히 박제상의 부인이 새가 되어 깃든 곳으로 알려진 바위굴이 인상적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