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11월 24일 경주시의 원전 정책에 대한 자문과 정책 제안을 담당하기 위한 ‘경주시원전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시민대책위)’가 출범한지 2년 6개월여가 지났다. 범시민대책위는 경주시의회, 학계, 시민단체를 비롯해 원전 관련 학식과 경험이 있는 4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지난 18일 위원장으로 선출된 이진구<인물사진> 신임 위원장으로부터 현재 경주시의 원전관련 현안과 범시민대책위가 해야 할 역할에 대해 들어 본다.
▷원전 관련 문제는 경주시민들의 관심사다. 경주시원전범시민대책위원회는 어떤 역할을 하는 기구인가? 범시민대책위는 정부의 원자력발전 정책에 대해 범시민 차원에서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경주시 조례 규정에 따라 운영된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동 중인 원성원전의 안전성 문제, 경주시의 원자력관련 주요 현안 사항, 원전관련 시정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을 경주시에 자문하거나 정책을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경주에 원전 문제와 관련해 가장 시급한 현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경주는 원전과 불가분의 관계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경주는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방폐장 유치이후 각종 혜택이 시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며 몇몇 사업은 세월만 보내고 있다. 범시민대책위는 먼저 그동안 묵혀있던 원전 관련 현안을 푸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 사업 중 대체사업인 도서관, 축구센터 건립 등 각종 사업이 너무 얽혀 있으며 답보상태에 빠져있다. 특히 한수원 본사 도심권 이전 문제는 여전히 유효하며 서로 소통만 잘 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한수원 본사 도심권 이전 가능하다고 했다. 이유는? 경주의 장래를 보아 한수원 도심권 이전은 매우 중요한 현안이다. 한수원 본사가 동경주에 들어설 때나 그 이후 몇 차례 이야기가 나왔지만 공론화되지 못한 것은 동경주 주민들과 공감할 수 있는 소통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오랫동안 방폐장 유치와 원전에 관계하면서 동경주 주민들과 합의만 이뤄지면 한수원 도심권 이전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경주와 경주시, 한수원이 서로 소통하면 계기가 만들어 질 것이며 그 역할을 위원회가 하겠다. 최근 동경주 지역 인사들에게 한수원 도심권 이전에 대한 대안을 주면 한수원, 경주시와 서로 논의할 수 있도록 중재하겠다고 했다. 동경주 인사들도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동경주도 충분히 논의하면 좋은 대안이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 ▷경주가 원전 관련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는가?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수십 년 동안 원전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경주는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앞으로 지역 경제는 더 어려울 것이며 일자리 또한 줄어들게 될 것이다.
경주시와 경주시의회, 한수원, 시민들이 경주의 발전을 위해 서로 의견을 모으고 그 힘을 바탕으로 정부에 성의 있는 답변과 보상, 국가 에너지 정책의 경주 우선 배정 등을 당당히 요구해야 한다고 본다. 앞으로 원전과 관련된 문제는 경주시민들의 뜻을 충분히 수렴해 경주시에 자문, 건의하고 중재하는 역할을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