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정책을 적극 추진해 2050년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경주시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선자 의원은 지난 7일 열린 제25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과 그린뉴딜 정책에 경주시가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과학자들은 인류생존을 위한 기온 상승 마지노선을 1.5℃라고 보고 2050년이 되기 전에 탄소 중립(Net-Zero)에 도달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다”며 “최근 정부는 그린뉴딜 정책을 발표해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인접 국가인 일본도 2050년 탄소제로를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또 서 의원은 “주요 국가들은 이미 에너지 전환정책을 통해 화석에너지에 의존해온 에너지 공급 체계를 신재생에너지에 기반을 둔 새로운 에너지 공급체계로 대체하는 것을 추진해 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후위기 대응 정책은 많은 예산이 수반돼야 하며, 단기간에 큰 성과를 내기 어려운 장기적 과제로 모두의 관심과 의지가 필요하다”면서 “공공기관에서 선도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실천함으로써 민간의 기후위기 대응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서 의원은 △공용차량의 전기자동차 의무화 △공공기관 건물을 활용한 태양광 설치 확대 △기후위기 교육예산 확대 △경주시 차원의 기후위기 비상 선언 등을 실천할 것으로 경주시에 제안했다.
향후 교체할 공용차량을 전기자동차로 전환하고, 공공기관 청사에 태양광을 확대·설치해 지역 에너지 자립을 높여야 한다는 것.
또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기후 및 환경교육을 강화해 저탄소 생활양식 실천 시민을 양성하고, 시민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서 의원은 “경주시 차원에서 기후위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탄소중립을 향한 경제와 사회 시스템의 녹색전환을 통해 사람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며 국제사회에 책임을 다하는 녹색 선도 도시, 경주시를 만들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