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와 경북도, 한수원이 공동으로 청년기업가를 발굴·양성하려던 청년 신골든 창업특구 조성 사업이 사후 관리와 지리적 한계 등의 문제로 위기를 맞고 있다. 청년 신골든창업특구조성 사업은 경주시가 경북도 공모사업으로 선정돼 진행된 사업이다. 경북도에서 1억5000만원을 지원받고 경주시 1억5000만원, 한수원 2억 등 총 5억원으로 추진됐다. 지난해부터 추진되는 황오동 원도심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뉴딜사업과 연계해 도심에 청년창업특구를 조성해 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경주시는 지난해 공모를 창업특구 조성 및 운영기관을 (사)가경서비스지원센터로 선정했다. 이후 청년창업가 및 청년고용 창업 팀을 공모해 9개 업체를 선정했으며 이들 업체들은 업체당 4000만원의 지원과 개별 맞춤형 컨설팅 등을 제공받아 창업했다. -청년창업 ‘실패’ 우려가 현실로 경주시 청년 신골든 창업특구 조성 사업은 업체별 4000만원 지원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으로 진행됐지만 사업 초기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지역에서 청년창업이라는 명목으로 예산 낭비 사례로 회자되고 있는 북부시장 청년몰 사업과 닮아있기 때문이다. 북부시장 청년몰 사업은 국비(7억5000만원)와 도비(1억8000만원) 시비(4억2000만원) 등 총 15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청년창업 사업이었다. 슬럼화된 성건동 북부시장에 청년창업 ‘욜로몰’이라는 명목으로 임차료와 인테리어, 홍보 등 각종 혜택이 지원됐다. 하지만 북부시장 욜로몰은 사업 1년 만에 폐업자가 속출하면서 현재 1개 업체를 제외한 모든 업체가 폐업한 상황이다. 욜로몰 실패 요인으로 사후 관리 부족과 지리적 한계 등이 꼽힌다. 신청년골든 창업특구 역시 사후 관리와 지리적 한계로 사업 연속성에 의문이 제기돼 왔고 결국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청년 신골든창업특구조성에 참여한 9개 업체 가운데 대부분 업체가 수익성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실제 2~3곳은 매각 등 폐업에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 관계자는 “청년창업은 사례를 보더라도 사후 관리와 상권 형성이 필수다. 상권형성이 안된 곳에다 사후관리까지 전무해 어려움이 크다”면서 “조만간 폐업하는 업체들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시에서 청년특구 2차 사업 추진보다 폐업하지 않도록 사후관리에 신경 써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홍보비 4000만원은 무용지물 경주시 청년 신골든창업특구 조성사업 1차 사업은 (사)가경서비스지원센터가 지난해 12월까지 사업을 운영했다. 초기 10개 업체를 선정해 4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었지만 9개 업체가 선정돼 4000만원의 예산이 남게 된다. (사)가경서비스지원센터는 이 예산을 홍보예산이라는 명목으로 A 조합, B 조합과 계약해 예산을 사용했다. A 조합은 영상제작 및 카탈로그 제작에 1600만원, B조합은 비대면 홍보 플랫폼 개발 및 관리라는 명목으로 2400만원을 사용했다. 하지만 홍보라는 명목으로 제작된 영상과 플랫폼 홍보 효과는 미비했다. 실제 홍보라는 명목으로 제작된 동영상들은 유튜브에서 조회 수는 12일 오전기준 10~20회에 그쳤으며 페이스북 글은 좋아요 27, 블로그 댓글 2개 등 홍보효과는 미비했다. 또한 제작된 동영상과 카드 뉴스, 블로그 등은 기존에 촬영된 자료를 편집하는 수준에 그쳤고 이마저도 1월 이후 방치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홍보비용은 영상과 블로그 등 제작으로 쓰였으며 자료는 향후 업체들이 쓸 수 있다”면서 “홍보 예산이 적정하게 쓰여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업자들의 폐업에 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홍보비 몰아주기? (사)가경서비스지원센터는 홍보 예산을 사용하면서 (사)가경서비스지원센터 전 센터장이 대표로 있는 곳에 홍보비 예산을 사용했다. (사)가경서비스지원센터는 전 대표인 C 씨가 대표로 있는 A 업체에 동영상과 카탈로그 제작으로 1600만원을 사용했다. 현재 A 업체가 제작한 동영상은 12월부터 현재까지 조회 수 10~20회 홍보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일각에서는 일감 몰아주기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경주시는 이에 대해 일감 몰아주기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홍보비는 수행기관이 알아서 사용해 시는 알 수 없다”면서 “두 회사 대표가 다르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