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으로 인한 국민들의 금융피해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수법이 진화하면서 메신저피싱 피해는 오히려 크게 증가하고 있어 철저한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2020년) 보이스피싱 피해건수는 2만5859건, 피해금액은 2353억원으로 전년대비 4만6629건, 4367억원보다 크게 줄었으며 피해환급금은 1141억원으로 환급률이 20%p 상승한 48.5%를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피해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경주지역에서도 다수의 시민들이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경찰서에 따르면 지난해 경주지역 보이스피싱 피해는 206건에 52억원에 달했다. 주요 수법은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해 저금리 대출로 전환하며 현금 요구, 가족·지인 사칭해 신분증·카드정보 등 요구, 경찰·검찰·금융감독원 직원 등을 사칭해 인터넷 주소 클릭 유도 등이었다.
최근에는 다양한 유형의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메신저피싱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사칭한 메신저피싱 피해액은 9.1%나 증가했으며 50대와 60대가 피해자의 85%를 차지했다. 대출형 사기는 40~50대 비중이 65%를 차지해 가장 높았으며 특히 남성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칭형 사기는 60대 이상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남성보다는 50~60대 여성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모바일·인터넷뱅킹을 통한 피해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서는 △경찰·금감원이라며 금전을 요구하면 무조건 거절 △메신저·문자를 통해 금전을 요구하면 유선 확인 전까지 무조건 거절 △등급상향, 저금리 전환, 대출수수료 명목 금전요구는 무조건 거절 △출처 불분명 앱, URL 주소는 무조건 클릭 금지 △사용하지 않은 결제 문자는 업체가 아닌 해당 카드사에 확인 등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5계명을 숙지하고 상황별 행동원칙은 준수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서는 금융관련 기관이나 경찰, 지자체의 노력도 중요하다. 관련 기관은 업무공조를 통해 국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예방활동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보이스피싱은 수법이 교묘해 일상 속에서 누구나 당할 수 있으며 범인을 검거하더라도 피해 회복이 어렵다. 금융·개인정보 관리를 철저히 하고 예방하는 것만이 최선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