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활성화를 위해 지원되는 유치 인센티브가 특정 업체와 특정 지역에 편중되면서 관광업계 상생이라는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경북도는 지역 관광산업 활성화를 통한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21년 경북나드리 e 커머스 상품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도내 지역축제 입장권과 유료 체험권, 관광시설 이용권, 숙박권 등을 연계한 상품을 구성해 판매하면 판매가의 30%를 경북도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예산은 지난해보다(2020년 15억 여원)보다 감소한 8억6400만원으로 지난 1월부터 지급하고 있으며 예산이 소진 시까지 운영된다.-영세 여행사는 신청 못해 도와 시·군의 예산이 지원되는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사업에는 지난해 수도권 1개 업체와 지역 여행사 1개 기업 등 2개 기업만이 신청했다. 23개 시군의 예산이 지원되지만 도내 여행업계는 고작 한 곳만이 지원을 받았으며 나머지 예산은 수도권 업체에게 지원됐다. 도내 여행업계가 예산을 받지 못한 것은 e 커머스 상품 판매 위한 시스템 구축이 어렵기 때문이다. 인센티브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북도문화관광공사 관계자는 “도내 많은 업체가 사업에 참여하면 좋지만 상품 특성상 구매와 사용, 처리 등의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면서 “처음에는 인센티브 관련 문의가 많았지만 작은 여행사들이 참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라고 말했다.-진입 장벽 높인 경북도 지난해 도내 여행사들이 지원금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경북도는 올해 진입장벽까지 높여 지역 여행사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경북도는 2021년도 경북나드리 e 커머스 상품 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지원 조건을 변경했다. 기존 ‘여행업 등록업체’면 지원 가능했던 사업을 올해는 ‘12개 시·군 이상, 50개 상품 이상 관광상품 출시’라는 조건으로 변경한 것이다. 경북도는 다양한 상품 발굴을 위해 지원 조건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관광지와 연계 상품이 많은 특정 지역 상품 판매가 많았고 다른 곳은 지원금이 남았다”면서 “23개 지역을 균형 있게 개발하기 위해 지원 조건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지원 조건이 바뀌면서 올해 지원하려던 도내 여행업계는 여행업계 현실을 무시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도내 여행업계 관계자는 “여행사는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기에 타지역과의 연계상품 개발이 어려운데 12개 지역, 50개 상품을 구성하라는 것은 지원하지 말라는 것과 마찬가지다”면서 “균형 있는 상품 개발이 오히려 규모가 큰 특정 업체만 배불리는 사업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원사업 특성에 맞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지원금은 수도권으로 23개 시군이 공동으로 시행하는 인센티브 사업은 도비와 시·군 예산이 지원된다. 지난해 지원사업으로 예산을 받은 곳은 두 곳이다. 이중 수도권 A 업체는 경주를 비롯해 문경, 영덕, 울진, 칠곡, 울릉도 등의 상품을 판매해 지원금을 받았다. B 업체는 경주 소재로 지난해 9월과 10월, 11월 동안 경주지역 상품만을 판매했다. A 업체는 경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예산을 독식했으며 경주시 예산도 모두 사용했다. 결국 B 업체는 경주 예산이 소진돼 도비 지원을 받아야만 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지역 상생을 위해 쓰여야 할 도·시·군 예산이 여행업계 현실을 무시한 지원 조건으로 수도권 업체로 흘러들어 가고 있다”면서 “공무원이 편한 시스템이 아니라 지역 관광업계가 상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경북도와 문화관광공사가 구축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