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이 5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공공데이터 활용 수력 댐 강우예측 AI 경진대회를 개최한다.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공공데이터에 적용해 수력 댐 운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대회를 개최하게 됐다. 대회는 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기상 레이더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 한수원에서 운영 중인 주요 수력 댐에 발생할 비의 양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한다. 한수원은 화천댐, 춘천댐, 의암댐, 청평댐, 팔당댐 등 한강 수계 및 섬진강 수계에 다수의 수력 댐을 운영하며 수력발전은 물론, 홍수조절, 용수공급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이번 경진대회는 한수원 중앙연구원과 국내 수자원 분야 최대 규모 학회인 한국수자원학회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산학협력 사업이다. 국내 수력 댐 운영사와 수자원 학계의 ‘물 관련 사회 공익 기여’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각 기관이 보유한 역량을 모아 시너지 효과를 내는데 의의가 있다.대회에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과 학습에 관심이 있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상금 규모는 1등 500만원 등 총 1100만원이다. 최종 결과는 11월 말 발표하며, 자세한 내용은 한수원 홈페이지(www.khnp.co.kr)에서 확인하면 된다.한수원 중앙연구원은 경진대회를 통해 발굴된 우수한 모델을 한수원 댐 운영 시스템에 적용할 방침으로, 2022년까지 3년간 총 200억원을 투자해 수력 댐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