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삭감됐던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용역비 5억원이 국회 해당 상임위원회인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되살아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항이자 경북도와 경주시가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 같은 사실은 22일 경북도의회 제305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박승직 의원(경주)이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이유를 따져 묻자 이철우 도지사의 답변에서 나왔다. 박 의원은 “경북도와 경주시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국비예산은 아직 한 푼도 확보하지 못했다”며 “경주지진 당시 대통령, 국무총리, 장·차관 등이 현장을 방문해서 국립지진연구원 유치를 약속했고, 문재인 대통령도 경북대표공약으로 약속했지만 정권이 바뀌고 1년도 안 돼 나몰라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또 “이런 중요한 현안을 중앙정부에 적극적으로 따지지 못한 경북도의 미온적인 대처도 실망스럽기 그지없다”고 따져 물었다. 이에 박 의원은 경북도의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유치를 위한 복안과 국비 확보가 어렵다면 경북도가 단독으로 설립할 용의는 없는지 물었다. 이에 대해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 유치의 당위성을 정부에 줄기차게 요구해 내년도 정부예산 국회 상임위 심의과정에서 국립지진방재연구원 건립 예산 5억원이 반영됐다”며 “앞으로 도와 관련 시·군, 정치권이 함께 예결위까지 최종 통과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답했다.이 도지사는 또 “만약 국회 예산반영이 무산되면 도 자체로 연구원 설립을 추진하겠다”며 “도에서 우선 사업에 들어가면 중앙에서 예산을 지원받을 방법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한편 경북도는 경주 일원 13만㎡에 사업비 2000억원을 들여 지진조사연구·방재연구·인력개발·내진기술 고도화 등을 담당하는 연구원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경주엑스포 조직 운영과 사업비 분담 문제 지적박승직 의원은 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조직 운영, 경북도와 경주시의 사업비 분담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질타했다. 박 의원은 경주엑스포가 사무총장 등 조직 대부분을 도에서 독식하고, 공동주최하는 경주시는 행사실무와 관련 없는 부서에 사무관급 1~2명만 배치하는 등 조직 운영상에 많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엑스포 행사를 도에서 거의 기획하다 보니 경주를 제일 많이 아는 시 소속 공무원이나 교수·전문가들의 독창적이고 좋은 아이디어가 전혀 나오질 않고 있다”며 “공동주최도시인 경주의 역할이 아무것도 없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사업비 분담 문제에 대해서는 “도가 조직과 인력, 기획 등 모든 것을 독식하고 있지만 사업비 분담비율은 50대 50으로 광역·기초 간 재정규모를 감안할 때 매우 불공평한 사업비 분담비율”이라며 재조정을 촉구했다.박 의원은 또 “세 차례의 해외 엑스포 중 2017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는 문화와 관련 없는 도시를 선정하는 등 경제엑스포로 변질됐다”며 “사업비도 당초 100억원에서 명분도 없는 부서별 예산 200억원 이상을 추가 투입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지역전문가들 중에는 ‘콘텐츠 부족과 식상함으로 외면 받는 엑스포를 그만 중단하고 다른 방안을 강구할 시점이 됐다’고 지적하고 있다”며 특단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이철우 도지사는 “엑스포에 경주시 공무원 수가 적었던 것은 사실로, 앞으로 인력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 도지사는 향후 엑스포 운영과 관련해서는 “해외 개최는 경비가 많이 들고 실효성이 적은 것 같아 지양하고, 국내 행사를 위해 콘텐츠를 대폭 수정·강하하겠다”며 “평양·개성 엑스포는 남북관계 개선에 따라 내년 정부와 검토하는 시기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박 의원은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경지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한 농업기반시설물 정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하면서, 전수조사를 통한 중장기 정비계획과 도비 예산 편성을 촉구했다. 또 수학여행단 유치를 위해 경북만이 지닌 독창적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내뿐만 아니라 전국 나아가 일본, 중국,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동남아를 대상으로 유치 전략을 수립·시행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