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군자지어천하야에 무적야하며 무막야하여 의지여비니라.<주석>適 :可함이다. 專主함이다.莫 :不可함이다. 不肯함이다.義 :合理이다. 恰當이다.比 :의지하여 따름이다.<번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천하의 일체 일에 대하여 반드시 어떻게 하여야 할 것도 없고 또 반드시 어떻게 하지 말아야 할 것도 없다. 오로지 합리하게 따를 뿐이다.<묵상>
適은 긍정이요, 莫은 부정이다. 군자가 천하의 일에 대하여는 꼭 긍정할 것도 아니고 꼭 부정할 것도 아니다. 오로지 의롭게 따르면 된다는 말씀이다. 옳은 말씀이다.
그런데 세상사는 사람은 모두 다 그 시대 그 상황에서 적과 막의 상황에 부닥쳐 자기의 길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 기준이 바로 義라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 適이든 莫이든 무조건 어느 하나를 고집하면 반드시 의에서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항상 의에 기준을 두는 사람이라야 군자인 것이다.
그런데 실상 세상 살아가노라면 義보다 利를 따라야 하는 유혹을 많이 받는다. 그렇게 넘어가는 경우를 많이 본다. 항상 서서 넘어질까 조심하여야 한다. 잠시라도 자만하면 넘어지고 만다. 평생을 존경스러운 삶을 살다 늙어 그만 실수를 하는 분을 많이 본다. 利에 넘어간 것이다. 그래 그만 그 평생의 업적이 무위로 돌아가고 아니 그보다 더럽게 생을 마감하는 일을 자주 보는 것이다.
근대사에서 춘원 이광수 같은 분이 그렇다. 그 얼마나 아름다운 삶을 살았더냐? 그러나 마지막 그만 변절하여 자기는 물론 민족에게 아픔을 준 것이다. 오늘날에도 존경 받던 종교인들이 노욕으로 인하여 추한 말에 휩싸이는 것을 볼 때면 참 안타깝다. 진정 조심하여야 한다.-子曰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 자왈 군자는 회덕하고 소인은 회토하며 군자는 회형하고 소인은 회혜니라.<주석> 君子 :도덕 수양이 있는 사람. 懷德 :회는 思念이고 덕은 도덕이다. 小人 : 도덕과 수양이 없는 사람이다. 土 :재산이다. 또 주희가 말하기를 “懷土란 그가 처한 곳의 평안함에 빠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刑 :법도이다. 惠 :은혜이다.<번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생각하는 것이 도덕의 증가이고 소인은 생각하는 것이 재산의 증가이다. 군자는 생각하는 것이 법도의 준행이고 소인은 생각하는 것이 은혜의 획득이다. <묵상>
군자와 소인은 그 생각하는 것이 늘 상반된다. 그런데 사람이 꼭 군자와 소인으로 양분되는 것이 아니다. 어제의 군자가 오늘에는 소인이 되는 수도 있고 오늘의 소인이 내일은 군자가 되는 수도 있다. 또 이 면에서는 군자가 다른 면에서는 소인이 되는 수도 있다. 또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우리는 늘 다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신약 성경에 나오는 바울은 선을 행하고자 하나 악을 하게 된다고 탄식을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늘 소인이고자 하는 자신을 처서 군자로 돌이키어야 하는 것이다.
역사를 보면 한 때의 군자가 소인으로 전락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최남선 이광수의 경우가 그렇고 3.1운동의 민족 대표 대부분이 그러하였다. 반대로 악한이 선인으로 변화하는 경우도 많이 본다, 김익두라는 분은 평양의 깡패였으나 나중 예수를 믿고 훌륭한 목사가 되었다고 하지 않은가? 그리하여 옛 사람들은 관 뚜껑을 덮은 뒤에라야 평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오늘처럼 더욱 복잡한 사회에서는 사후에라도 당장은 오히려 곤란하고 먼 훗날에야 바로 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