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환경운동연합은 월성원전이 집중호우 등으로 산사태 위험이 존재한다며 안전성 점검과 대책 마련 위한 민관합동 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경주환경연은 지난달 30일 성명서를 내고 월성원전 배후 사면 붕괴(산사태) 위험성이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다면서 만약 붕괴가 일어나면 원자로 냉각을 위한 소외전력 상실의 초대형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10월 6일 태풍 콩레이로 산사태와 도로 붕괴는 월성원전이 재난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확인시켰다고 주장했다.
경주환경연은 “호우로 토사가 대규모로 흘러내리는 등 이곳의 토질이 집중호우 등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다시금 확인됐다”면서 “문제는 월성원전이 이번 산사태 지점과 같은 토함산 자락에 있다는 사실이다”고 밝혔다.
이들이 월성원전이 산사태 등 재난에 취약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경주시가 공고한 산사태 취약지역과 월성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검증보고서다.
경주환경연에 따르면 경주시가 산사태취약지역으로 공고한 곳은 총 29곳이다. 이 중 12곳이 월성원전 반경 6km 안에 존재하나는 것. 또한 취약지역 12곳은 월성원전과 10월 6일 산사태 발생지점을 연결한 축선에 놓여있어 월성원전 배후 사면이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월성원전 배후 사면의 안전성 취약은 월성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검증보고서(2015년)에도 지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증보고서에 따르면 ‘월성원전 배후 사면은 시공 후 상당 기간이 경과했고, 설계 시 사면붕괴 저감설비의 기한이 종료됐으므로 지진과 강우에 의한 복합 재난 시 산사태와 토석류 발생에 대한 안정성과 저감설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검증보고서는 배후 사면의 안정성 분석을 실시한 자료들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경주환경연은 “지금까지 원전 부지의 안정성은 활성단층과 암반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이제는 산사태에 취약한 토질에 의한 재난 위험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태풍 콩레이로 인한 국도4호선의 붕괴와 같은 일이 월성원전 배후 사면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민관합동 조사를 통해 투명한 안전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