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대형·중형·특성화로 나눈 국민안전체험관을 건립하는 계획에서 지진피해의 중심인 경주와 포항지역이 빠져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016년 경주 지진 직후 행정안전부의 전신인 국민안전처가 지진 상황에서 발생하는 일들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체험관을 건립하기로 한 것. 행안부가 건립 예정인 국민안전체험관은 대형(서울 도봉구, 광주 북구, 경기 오산)·중형(충북 청주, 경남 합천, 제주)·특성화(인천, 울산)로 나눠 진행 된다. 문제는 지진의 피해지역인 경북권, 특히 경주와 포항지역이 선정지역에서 빠져있는 것. 지진의 피해를 가장 먼저 대비해야할 지역이 대상지역에서 빠지자 지역민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시민들은 “지진의 위험에 노출된 지역이 경주와 포항인데 이 두 지역이 빠진 것은 말도 안된다”며 “지진당시 경주와 포항지역의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고, 아직도 지진 트라우마로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행정의 이런 결정은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운영중인 국민안전체험관은 총 155개다. 하지만 대구·경북지역에는 지진대비에 특성화된 안전체험관이 한 곳도 없다. 운영중인 국민안전체험관 대부분이 규모가 작고, 구체적 재난 상황을 대비한 체험시설이 충분치 못하다는 이유로 행정안전부가 표준모델 개발을 위해 진행중인 사업인데 대상지 선정에서 기준이 타당성을 잃고 진행됐다는 지적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