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유치 경쟁이 치열한 원자력해체연구센터(원해연)와 관련, 정부 로드맵이 나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원전해체산업 지역기반 육성 계획을 지난 10일 발표했다.
부산시, 울산시 등과의 유치경쟁에 대비하고 원전해체산업의 지역기반을 육성하기 위한 차원이다. 도는 이날 4대 전략목표를 기반으로 8개 세부 실행과제를 발표했다. 4대 전략목표는 △해체산업 기반 강화 △원전산업 일자리 창출 △원전해체 전문인재 육성 △해체산업지원 제도기반 마련 등이다.
8개 세부 실행과제는 원전해체기술 확보 및 지역기업 역량강화, 원전해체기술개발 지원사업추진, 청년특화 일자리 지원, 신산업 아이디어 공모, 원자력전문인력 양성사업 지속추진, 글로벌 원전해체 전문인재 육성, 원전해체산업 육성협의회 구성, 경북도 원전해체 산업 육성조례 제정 등이다.
해체산업 기반 강화 분야는 지역기업 역량 강화 및 기술 확보를 위해 다양한 해체산업 분야 중 핵심기술 중심으로 2019~2022년까지 도내 중소기업 20여개 타켓 기업을 선정 후, 행·재정적 지원을 통해 해체기술 자립기반 구축과 전문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원전해체 기술개발 지원사업 추진을 위해 원자력관련 기업과 지역대학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원전해체 기술개발 지원체계를 구축해 원전해체 시장에서 사업성이 큰 분야에 우선 지원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청년 일자리 지원 확대를 위해 대학이 보유한 방사능 제염 등 우수한 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는 한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청년 TLO육성사업과 연계해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기업에 기술 이전비를 지원한다. 원전분야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인력양성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도는 한수원, 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자력 공공기관이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2018년 18%에서 2022년까지 30%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에 따라 4차산업, 전기·기계, 금속, 방사선 등 다양한 원전산업 분야에 맞춤형 인재를 육성한다. 내년 4월 개원하는 원전현장인력양성원을 중심으로 글로벌 원전해체 전문인재 육성사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제도기반 마련 분야는 경상북도 원전해체산업 육성 협의회 구성을 필두로 해체산업 육성을 위해 지자체, 민간기업, 교육기관,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산·학·연간 기술 교류를 확대해 나간다.
또한, 경북도 원전해체산업 육성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발전 기반을 조성하고, 도내 기업의 해체산업 진입을 적극 지원하는 등 다양한 지원방안도 함께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