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석불좌상이 청와대에 위치하게 된 이유는 무엇이여, 원래는 경주 어느 곳에 봉안됐고, 불상의 제작 시기와 그 의미는 무엇일까?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방룡)이 주최·주관하는 2018년 시민 공개강좌 ‘경주 옛 문화 바로알기’가 오는 19일 오후 7시 경주 문화원에서 `청와대 불상의 내력과 그 의미`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이번 공개강좌는 한국조각사 전공 경주대 문화재학과 임영애 교수의 강연으로 진행된다. 이른바 ‘미남불’이라 불리는 청와대 석불좌상의 내력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청와대 석불좌상은 현재 광배도 없고, 대좌도 일부를 잃었지만 불신은 거의 손상된 곳 없이 완전하다. 신라 불상 가운데 얼굴이 이렇게 온전하게 남아있는 예가 드물고, 석굴암 본존상을 축소해 놓은 것처럼 어깨가 당당해 이미 1934년부터 ‘미남불’이라 불렸다. 잘 보존돼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지만, 더욱 흥미로운 점은 이 불상이 일제강점기인 1912-1913년 무렵 경주에서 서울로 옮겨와 현재 청와대 관저 뒤쪽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라문화유산연구원측은 “이른바 청와대 불상과 관련해서 경주시의회에서는 불상 반환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어 이번 강좌는 시민들의 관심을 더욱 끌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2012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매년 4회 분기별로 ‘경주 옛 문화 바로알기’란 주제로 전문가를 초빙해 경주시민들에게 공개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