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저 뒤뜰에 있는 불상의 경주 반환 추진이 지지부진하면서 경주시의회가 불상 반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주시의회는 3일 제236회 1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한영태 시의원(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청와대 소재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반환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결의안에 따르면 “청와대 내 보물 1977호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은 일제 강점기인 1913년 부당한 권력에 의해 경주 남산에서 서울 남산 조선총독 관사로 옮겨졌다”며 “이 불상은 서울 남산의 총독관사가 1927년 현 청와대 자리로 이전하면서 함께 옮겨져 현재까지 그 자리에 있다”고 밝혔다.또한 “조선총독부의 자료에는 경주 남산 아래 도지동의 절터에 있던 것을 일본인 오히라가 총독에게 환심을 사기 위해 선물했다는 문서가 있고, 현재 불상 앞 표지석에도 경주 남산에서 옮겨왔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다”고 강조했다.이에 따라 시의회는 “문화재는 제자리에 있을 때 가치가 있다”면서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을 되돌려 받기 위해 문화재청, 경상북도, 경주시가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경주 불상의 역사적·문화적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되돌려 받기 위해 경주시가 시민사회와 협의, 반환 운동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9세기경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은 당당하고 균형 잡힌 신체적 특징과 조각적인 양감이 풍부해 통일신라 불상 조각의 위상을 한층 높여주는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석굴암 본존불과 양식이 매우 유사하며, 특히 통일신라시대 유행한 팔각형 대좌 대신 사각형 대좌로 제작돼 비슷한 시기 불상 중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면모가 돋보인다.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 문화재 수난사를 대표하는 유물로, 원래 위치가 경주남산 또는 도지동 이거사(移車寺) 터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지난해 시민단체들이 청와대 불상 경주 반환을 강력히 요구했지만, 불상의 원래 정확한 소재지 파악이 되지 않아 현재까지 반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 4월 12일 이 불상을 보물 제1977호로 지정하고, 명칭도 석불좌상에서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으로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