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연구원이 발표한 경주시 관광종합개발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서를 보면 경주시 관광정책방향을 제대로 담아 내지 못한 결과물로 보여진다. 용역기관이 제출한 경주시 관광종합개발계획은 급변하는 관광수요에 대응한 경쟁력 있는 관광 정책 추진을 위해 지난해 10월 용역에 들어가 지난 27일 전문기관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보고된 개발계획은 사업기간 2019년~2028년으로 10년간 ‘4대 전략사업’에 총 34개 사업, 총 사업비 3340억원 규모다. 경주시는 이 보고서를 보기 위해 용역비 1억8000만원을 들였다. 최종보고회에 제출된 보고서를 보면 기존 진행 중인 사업과 투자부문을 포함해 각 단위 사업별 계획을 수립했다. 그리고 황남초 신라 발굴관 활용, 관광 브랜딩 등 하드웨어형 사업 18개와 황리단 차 없는 아트로드 조성, 전통시장 활성화 등 콘텐츠형 16개 사업을 제시했다. 그동안 경주는 역사문화, 관광자원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란 지적을 받아 왔다. 이번 보고서를 살펴보면 아쉬운 점이 적잖아 보인다. 우선 기존 시행중인 사업에 첨가한 내용이 많을 뿐만 아니라 경주 관광정책 방향의 핵심 키워드가 무엇인지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경주 관광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분석에 근거한 미래의 트랜드를 예측하고 방향을 제시한 부문도 없어 보인다. 오죽하면 주낙영 시장이 최종보고회에서 “용역 보고회에서 중요한 점은 얼마나 많은 의견이 반영됐느냐에 달려있다. 이번 보고회는 그런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최종 보고회 연기를 주문했겠는가? 경주관광정책의 문제점 중 하나가 급변하는 관광 패턴에 너무 쉽게 휩쓸린 나머지 경주가 갖고 있는 고유의 자산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관성과 지속성이 없는 일회성 이벤트 중심의 관광객 유치 정책으로 예산 낭비만 반복했다. 특히 관광정책 수립은 실제 관광객을 맞이하는 관련기관이나 지역주민들이 계획수립단계부터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관에서 수립해 놓은 정책을 민간이 그냥 따라가는 관주도식의 반복이었다. 그동안 경주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용역기관이나 대학연구기관 등에서 수많은 용역을 맡아 발표해 왔지만 얼마나 기대치에 도달했는지 의문이다. 경주 관광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향후 경주의 관광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짧은 기간에 결과물 내기에 급급해서는 안 되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