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9∼11월 한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9∼11월 한우 도축 마릿수는 출하예정 마릿수가 적어 전년보다 감소 전망-9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보다 상승한 18,200∼19,200원/㎏ 전망-추석 성수기(추석 2주전)는 전년보다 상승한 18,500∼19,500원/㎏ 전망- 추석 이후인 10∼11월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보다 상승한 17,000∼18,700원/㎏ 전망- 1세 이상 사육 마릿수 증가와 도축 마릿수 감소로 9월,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각각 1.6%, 1.5% 증가 전망 ▶돼지추석 성수기 돼지 도매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9월 사육 마릿수는 모돈 수 증가로 자돈 생산이 늘어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 1,150∼1,170만 마리-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등급판정 마릿수는 돼지 사육 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간보다 0.7∼2.0% 많은 76∼77만 마리 전망-9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도매가격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간(4,503원)보다 하락한 4,100∼4,400원 전망 ▶젖소3∼4분기 원유 생산량 전년보다 감소 전망-9월 젖소 사육 마릿수는 2세 이상 사육 마릿수가 줄어 전년보다 0.7∼1.2% 감소한 40만6000∼40만8000마리로 전망되며, 12월은 전년보다 0.5∼1.0% 감소한 40만5000∼40만7000마리로 전망-3분기 원유 생산량은 폭염에 따른 젖소 생산성 저하로 전년보다 1.0∼1.6% 감소한 49만4000∼49만7000톤으로 전망-4분기 원유 생산량은 젖소 사육 마릿수가 감소하는데다, 폭염 피해 영향 및 백신 접종 등 젖소 생산성 저하 요인들이 존재함에 따라 전년보다 감소한 49만3000~49만6000톤으로 전망 ▶육계9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보다 상승한 1,300~1,500원/kg 전망-7월 육용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대비 5.4% 감소한 23,435톤-7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0.6% 감소한 484만 마리, 종계 총 사육 마릿수는 1.8% 감소한 816만 마리 추정-종계 성계 감소하나 종계 생산성 향상으로 병아리 생산 증가-9월 일평균 도계 마릿수는 병아리 생산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 전체 도계 마릿수는 추석으로 작업일수가 줄어 전년보다 감소 전망-도계 증가에도 불구하고 폭염으로 닭고기 생산이 감소한 업체의 구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9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보다 상승한 1,300∼1,500원/kg 전망-1분기 종계 입식 감소하였으나 종계 생산성 향상과 종란 재고 증가, 환우 계군 생산가담으로 4분기 병아리 생산량 작년보다 증가할 전망-병아리 생산 증가로 도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10~11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보다 낮을 전망 ▶산란계추석 성수기 계란 산지가격 전년보다 상승 전망-9월 산란용 닭 마릿수는 산란 가담 신계군 증가로 전년보다 5.3% 증가한 5,039만 마리로 전망됨. 10월 이후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병아리 입식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10월 산란용 닭 마릿수는 4,954만 마리, 11월에는 4,979만 마리로 전망-9월 계란 산지가격은 난중 감소로 상품성 있는 물량(대란 이상)이 감소하여 전년보다 상승한 1,300∼1,400원(특란 10개)으로 전망됨. 추석 성수기(2주전)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상승한 1,350∼1,450원으로 전망-10월 이후 계란 생산량은 산란계 사육 마릿수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어 10∼11월 가격은 전년 대비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오리9~11월 오리 생체 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 -9∼11월 도압 마릿수는 7∼9월 병아리 입식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보다 42.1% 많은 1,870만 마리로 전망-9∼11월 오리고기 생산량은 도압 마릿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 대비 42.1% 증가한 27,346톤으로 전망-9∼11월 산지가격은 오리고기 생산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보다 하락할 전망임. 9월은 5,900∼6,400원/3kg, 10∼11월은 6,200∼6,700원/3kg으로 전망됨. 제공=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