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궁과월지 내 동궁 옆 석조수로가 불이 날 때를 대비한 통일신라판 첨단 소화전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궁 터에 현재 남아있는 석조수로의 길이는 107m. 이 수로는 그동안 처마에서 떨어지는 낙숫물을 받아 월지로 흘려보내는 배수로로 여겨왔었다. 그러나 7세기 말경에 상상하기도 어려웠을 창의적인 소방시설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이는 박홍국 위덕대학교 박물관장이 최근 학술지 신라사학보에 게재한 논문 ‘신라 동궁지 석조수로의 기능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발표했다.박홍국 관장은 논문을 통해 석조수로는 너비가 29∼30㎝, 높이는 14∼15㎝로, 길이 1.2∼2.4m인 다양한 돌을 요(凹) 자 모양으로 파낸 뒤 이어 만들었다. 월지 서쪽 건물에서 시작해 아홉 번 직각으로 꺾이는데, 첫 번째와 다섯 번째 굴절 구간에는 길이가 각각 165㎝, 90㎝인 수조형 수로가 설치됐다고 설명했다. 박 관장은 “수로가 낙숫물을 받는 용도라면 바깥쪽 석재도 패였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며 “식수를 보관하기에는 지상에 노출돼 청결·위생면에서 가능성이 없고, 경관용으로 보기에도 석연치 않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이 수로에 대해 막연하게 추정해온 낙수를 배수하던 시설 또는 식수공급이나 동궁의 경관용도 아니라는 것. 그러면서 그는 “자연석이 아닌 길이 1m가 넘는 화강석재로 종교하게 만들어 연결한 점으로 보아 수로에 들어온 물의 누수를 최대한 방지했다”면서 “90도로 꺾이는 부분을 연결할 때 한쪽 돌의 홈이 ㄱ 또는 ㄴ형으로 수로를 쪼아내 견고히 맞댔고, 물막이판 고정홈을 통해 물을 보내거나 차단하게 한 점 등은 방화시설로 보는 결정적인 자료”라고 밝혔다. 박 관장은 또 “경관과 아무런 관계도 없고 통행에도 불편한 수로를 굳이 설치했다는 점에서 석조수로는 동궁 창건자가 고심 끝에 창안하고 정확한 계산과 설계에 따라 만든 방화수로였다”고 주장했다. 박 관장은 동궁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물 10ℓ를 조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한 결과, 석조수로는 4초에 불과하지만 월지는 최소 25초라고 분석했다.이에 대해 박 관장은 “목조건물의 화재 피해 양상은 콘크리트 건물과는 확연히 다르다”며 “기둥 몇 개만 타버려도 건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고, 천장에 불이 붙는 순간 거의 무너지는 특성을 고려할 때 초기 진화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박홍국 관장은 “잔디에 묻혀 잘 보이지도 않고 관광객의 관심도 받지 못하고 있는 이 석조수로가 7세기 말경에는 상상하기도 어려웠을 창의적인 소방전용이었다”며 “당시 최고 수준의 대규모 시설로 설치에 투입된 공력과 정성은 우리가 짐작조차 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른 궁전과 사찰에는 이 수준의 수로를 설치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그는 끝으로 “석조수로는 동궁 내 가장 중요한 건물들이 있었던 월지 서편의 회랑 내 중심건물과 호안의 건물에 불이 날 때를 대비한 방화시설”이라며 “그만큼 동궁 건물들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을 통한 방화수로로서 현대의 소화전에 필적하는 놀라운 시설”이라고 결론지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