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민 가운데 소득 하위 20% 계층이 상위 20%계층보다 일찍 죽고 건강하게 사는 기간도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소득이 낮을수록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기간이 고소득자보다 10년 이상 짧은 것으로 조사돼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과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한국건강형평성학회는 최근 ‘17개 광역시도 및 전국 252개 시군구별 건강불평등 현황’을 발표했다. 이는 2010년부터 2015년 건강보험공단 자료 2억9500만건과 154만명의 사망자료, 2008년부터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다.-경주시 기대수명 80.5세, 도내 평균보다 낮아 형평성학회가 발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경주시 기대수명(출생 후 향후 몇 살까지 살 것인지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은 80.5세로 조사됐다.
자료에 따르면 경주시 소득 수준별 기대수명은 소득차이에 따라 격차가 확연하게 나타난다. 경주시 소득하위 20%의 기대수명 76.7세로 소득상위 20%의 기대수명은 82.5세보다 5.9년 더 일찍 죽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주시 기대수명은 경상북도 평균 기대수명보다 낮았다. 경상북도의 기대수명은 81.0세로 도내에서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구미시로 81.1세였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영양군으로 78.9세였다.
그리고 경북도내 기대수명 소득수준 간 격차를 만드는 4대 사망원인은 뇌혈관장애와 자살, 허혈성심장질환, 알코올 간질환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 간 기대수명 격차 6.7년 중 뇌혈관장애는 0.53년, 자살은 0.49년, 허혈성심질환은 0.35년, 알코올 간질환은 0.32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 4개 사망원인에서 소득 간 격차를 없애면 격차의 25.3%(1.7년)를 줄이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건강수명 소득 수준에 따라 10.9년 차이 기대수명 중 건강하게 삶을 유지한 기간을 의미하는 건강수명도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경주시 건강수명의 평균은 65.2세로 평균적으로 65세까지는 건강한 삶을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소득수준별로 나눠보면 소득상위 20%의 건강수명은 69.8세로 소득하위 20%의 58.9세와 10.9년 차이를 보였다.
한국건강형평성학회 관계자는 “조사 결과 소득 수준에 따라 수명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지방으로 갈수록 그 격차는 더 심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한편 경상북도 평균 건강수명은 64.8세로 가장 높은 지역은 성주군 69세, 가장 낮은 지역은 영양군 61.9세로 조사됐다. 소득상위 20%와 하위 20% 집단 간 건강수명 격차는 11.3년으로 조사됐다. 건강수명 격차가 가장 작은 지역은 청도군으로 8.6년의 격차를 보였고 건강수명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예천군으로 16.7년의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