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저출산, 고령화로 따른 인구감소로 ‘소멸위험지역’에 올해 처음으로 포함됐다.소멸위험지수 0.5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데 지난 6월 기준 경주시의 지수가 0.494로 조사된 것.이 같은 결과는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이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나타날 수 있는 지방소멸위험도를 분석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이 연구위원은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활용해 2013~2018년 전국 228개 시군구 및 3463개 읍면동의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0.5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했다.즉, 가임여성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탓에 공동체가 붕괴돼 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보고서에 따르면 경주시는 지난 6월 기준 인구 25만7137명 가운데 20~39세 여성인구 2만5571명, 65세 이상 인구 5만1809명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494’로 나타났다.지난해 같은 기간 소멸위험지수 0.519에서 0.025 내려가며 올해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것이다. 분석이 처음 시작된 2013년 소멸위험지수 0.674에 대비해서는 지수가 0.18 떨어졌다.이는 2013년 6월 기준 20~39세 여성인구가 2만9553명에서 2018년 2만5571명으로 3982명(13.5%)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같은 기간 4만3843명에서 5만1809명으로 7966명(18.2%) 증가했기 때문이다.즉 지난 5년간 2~30대 여성이 계속 감소한 반면, 65세 이산 고령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소멸위험지수도 악화된 것이다.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 89개(39%)로 증가했다. 특히 경주를 비롯해 강원 철원군(0.480), 부산 중구(0.491), 김천시(0.496) 등 4개 시군구는 올해 새롭게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이는 지방소멸 바람이 농어촌 낙후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권역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지역까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 연구위원의 주장이다. -경주시 23개 읍면동 중 17곳 소멸위험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3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위험에 처한 지역 수도 2013년 1229개(35.5%)에서 2018년 1503개(43.4%)로 5년 사이에 274개(7.9%p) 늘었다.경주시의 경우 23개 읍면동 가운데 17개(73.9%)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전국 평균 43.4%보다 높게 나타났다.산내면이 전체 인구 3308명 중 2~30대 여성 158명, 65세 이상 인구는 1425명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1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면(0.136), 내남면(0.155), 감포읍(0.170), 황남동(0.194), 건천읍(0.231), 강동면(0.232), 천북면(0.248), 양북면(0.268), 보덕동(0.278), 황오동(0.301), 양남면(0.324), 월성동(0.329), 외동읍(0.343), 안강읍(0.376), 중부동(0.389), 불국동(0.498) 등의 순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반면 용강동은 인구 2만1880명 가운데 2~30대 여성 3015명, 65세 이상 인구는 1817명으로 지수가 1.659로 나타나 가장 양호했다. 이어 황성동 1.442, 동천동 0.896, 선도동 0.880, 현곡면 0.848 등이었으며, 성건동은 0.528로 소멸주의 단계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이들 6개 읍면동 역시 소멸위험지수가 5년 전에 비해 매년 감소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소멸위험지역 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경북 23개 시·군 중 19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경북도내 23개 시·군 중 경주를 비롯해 19개 시·군(82.6%)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의성군이 소멸위험지수 0.151로 가장 높았고, 군위군(0.169), 청송군(0.184), 영양군(0.1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반면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은 구미시(1.779), 칠곡군(0.907), 경산시(0.835), 포항시(0.770) 등 4개 시·군으로 조사됐다.경북 평균 소멸위험지수는 0.55로, 16개 광역시도 중 최하위인 전남 0.47에 이어 두 번째였다. 전국 평균 지수는 0.91로 나타났다.이번 분석 결과에 대해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최근 소멸위험지역은 도청 소재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는 양상이며,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유출을 더욱 가속화했다”며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물리적 인프라(하드웨어) 중심의 혁신뿐만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소프트웨어)의 혁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