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에서 출토된 유물의 관리와 연구, 전시, 홍보 등의 기능을 갖춘 사업비 50억원 규모의 ‘경주 월성 발굴조사 운영시설(이하 월성 운영시설)’ 건립이 본격화된다. 경주시가 제출한 2018년도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 ‘경주 월성 발굴조사 운영시설 건립’이 13일 경주시의회 제23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이에 따라 지난 2015년부터 추진해왔던 사업이 3년 여 만에 가시화 된 것. 경주시에 따르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위탁사업으로 추진되는 월성 운영시설은 황남동 407번지 일원(교촌한옥마을 임시주차장 뒤편) 부지 1만㎡에 연면적 1800㎡, 지상 1층 규모로 202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설 내부에는 전시실, 세미나실, 수장시설, 연구실 등을 갖출 예정이다. 전시실에는 신라왕경사업 및 월성발굴조사 성과를 홍보하고, 월성에서 출토된 유물 등을 전시한다는 계획이다. 세미나실은 주요 발굴성과에 대한 시민 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수장시설에는 월성 학술발굴조사에 따른 출토유물을 보관·관리 및 연구하게 된다. 올해까지 출토유물은 토기·기와, 목간 등 5만여 점에 이른다. 그리고 연구실은 월성 학술발굴조사 관련 고고학, 역사학, 고건축, 고환경 연구 등 학제 간 연구 중심센터 기능을 할 예정이다. 시에 따르면 월성 운영시설은 신라왕경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일환으로 2014년 10월부터 월성의 장기적인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출토유물의 효율적인 보관·관리 및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시설이라고 밝혔다. 또 전시 및 강연을 통한 발굴성과를 국민에게 홍보할 수 있는 시설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월성 운영시설 건립에 대해 “현재 월정교 북측에 위치한 월성 학술조사단 현장시설이 이전하게 돼 주변 경관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동부사적지, 교촌한옥마을, 월정교로 이어지는 새로운 관광 동선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발굴현장과 연계되는 새로운 문화관광 콘텐츠로 자리매김해 지역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주시는 이번 안건이 시의회 임시회서 통과됨에 따라 대상 부지 문화재 현상변경 및 발굴조사, 세부설계 등을 거쳐 오는 11월 착공, 2020년 준공할 계획이다. -2015년부터 추진한 운영시설 건립사업 왜 늦어졌나?‘경주 월성 발굴조사 운영시설’ 건립 사업이 이번 경주시의회 임시회를 통과하기까지는 많은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사업은 지난 2015년부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등이 추진해왔다. 2015년 8월 운영시설 건립 기본계획이 수립됐고, 이 계획안은 그해 10월 20일 문화재위원회로부터 승인까지 받았었다. 또 문화재청 국고보조사업지침(2015, 2016)에 시설 건립 내용이 포함돼 있었던 사업이어서 예산 또한 확보된 상태였다. 그러나 당초 운영시설 건립(안)은 건물 높이가 높고, 건립부지 또한 현재 월정교 북편에 위치한 월성 학술조사단 부지로 선정해 계림, 월정교, 경주향교 등 주변과의 경관훼손 문제가 불거졌다. 특히 문화재보호구역 내 건축물 신축 등에 따라 경주시민에 대한 건축허가 등 행위제한과의 형평성 문제도 나왔었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경주문화재연구소에 2017년 2월 운영시설 건립계획 전면 재검토를 요청했고, 3월에는 실시설계 용역을 중지했다. 이후 9월에서야 경주시와 경주문화재연구소 등은 운영시설 관련 회의를 열고 부지를 변경하기로 결론지었다. 이에 따라 올해 세 차례의 자문을 거쳐 지난 4월 황남동 407번지 일원 부지를 최종 선정하면서 추진 3년 여 만에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