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주(감포·양남·양북) 지역의 3개 읍면 주민들이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정부의 탈원전정책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감포읍발전협의회, 양북면발전협의회, 양남면 최인접 5개마을 대책위원회는 30일 양북면복지회관에서 ‘동경주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구성을 위한 서약서에 서명하고 공식 출범했다.  이날 대책위는 신수철, 김재동, 홍중표 등 각 지역대표 3명을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대책위는 이날 정부의 일방적인 탈원전 정책으로 고통 받고 있는 지역주민의 생존권을 위해 성명서를 채택하고,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대책위는 성명을 통해 정부는 월성1호기 조기폐쇄에 따른 지역피해 파악과 대책마련을 위해 주민과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협의할 것을 촉구했다. 또 월성원전의 사용후핵연료가 포화돼 원전이 중단되고 그로인해 지역이 피해를 받기 전에 진행 중인 공론화에서 월성은 별도로 공론화를 추진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원전 주변지역 주민은 국가 산업발전이라는 명분아래 일방적으로 추진된 원전정책으로 인해 지속적인 희생을 강요당해 왔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발전과 지역상생을 위해 여러 가지 대안을 수용했고 조금이나마 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전의 안전대책과 침체된 지역발전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꾸준히 요구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원전관련 정책 추진 시 지역주민 의견을 최우선 반영해야 한다”면서 “그런데도 월성1호기 조기폐쇄, 고준위 문제 등을 주민 의사조차 묻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특히 “월성1호기 조기폐쇄 시 백운규 산업통사자원부 장관은 주민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겠다고 서한을 보내면서까지 약속을 하고도 한수원 뒤에 숨어 비겁하게 일방적으로 결정했다”고 비판하면서, 주민동의 없이 결정한 월성1호기 조기폐쇄 결정을 당장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또 “굳이 월성1호기를 폐쇄하려면 그로인한 피해에 대해 정부가 발표한 전혀 실효성 없는 대책이 아니라, 지역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력히 요구했다. 이어 대책위는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정부에 주민과 협의체를 구성해 조속한 대책마련을 요청했지만 주민 의견을 무시해왔다”며 “현재 진행되는 공론화 과정에서 지역과는 전혀 상관없는 환경단체의 주장이 반영되고, 정작 지역주민 의견은 반영되지 않고 있어 더 이상 가만히 앉아서 지켜보고 있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책위는 끝으로 만약 우리의 정당한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관철될 때까지 더욱 더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이어 나갈 것임을 천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