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문무대왕 해양 심포지엄’이 20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렸다.문무대왕의 정신을 재조명하고 신라 해양문화 연구를 통해 해양문화관광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심포지엄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관심 속에 진행됐다. 경주시가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주관하는 심포지엄은 ‘천년고도 경주 미래 바다를 만나다’를 주제로 열렸다. 내륙의 역사유적 중심 관광에서 한발 더 나아가 동해안의 풍부한 해양자원을 활용해 해양관광 패러다임이 융합된 새로운 경주의 미래 성장 동력을 찾고자 마련됐다.심포지엄 기조발표와 주제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된 이날 심포지엄을 통해 미래 해양관광의 중심이 될 경주 동해안을 재발견하고, 문무대왕의 호국정신과 연계한 관광전략 등을 모색했다. 기조발표에는 ‘문무대왕의 해양정신을 되살린다’는 주제로 노중국 계명대 교수와 ‘현장에서 본 해양실크로드 문명’에 대해 주강현 국립해양박물관장이 강연에 나섰다. 이어 김성귀 전 KMI 원장의 ‘역사문화도시, 경주해양관광비전’과 이유진 April Magazine 대표의 ‘경주시 도시브랜딩전략’이라는 주제 발표가 있었다. 그리고 종합토론에서는 김성진 전 해양수산부장관을 좌장으로 발표자와 전문가 패널이 ‘문무대왕 해양 정신 계승과 경주시 해양산업발전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개선점과 발전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 주낙영 시장은 “천여 년 전 신라는 우리나라 최초 해양행정기관인 선부(船府)를 설립하고, 바다를 통해 나라를 지키며, 활발한 국제교류활동을 펼치는 등 바다의 중요성을 잘 인지하고 있었다”며 “문무대왕의 호국·애민정신과 해양개척정신을 되새기고, 그가 꿈꿨던 해양 비전을 재조명해 경주가 해양문화관광도시의 중심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주강현 국립해양박물관장,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김성진 전 해양수산부장관 등 해양분야 주요 인사와 석학을 비롯해 주낙영 경주시장, 김석기 국회의원, 윤병길 시의장, 시·도의원과 지역기관단체, 시민 200여 명이 참석해 신동해안 시대를 열어가는 경주의 해양 발전전략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