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대 의회 때 매년 23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실시해오던 행정사무감사를 올해부터는 반반씩 나눠 격년제로 시행될 예정이다.경주시의회는 18일 열린 전체의원 간담회에서 읍·면·동 행정사무감사를 이 같이 실시하기로 협의 끝에 결론지었다.시의회는 오는 24일 열리는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이를 최종 의결한다.그동안 찬반여론으로 논란이 일었던 읍·면·동 행정사무감사 매년 실시는 지난 2015년부터 도입돼 3년간 시행됐다.당시 제7대 의회는 읍면동장과 업무담당 및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다소 미흡해진다는 이유로 기존 격년제에서 매년 감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었다.또 읍·면·동은 감사 개념도 있지만 주민들과 밀접한 접촉으로 숙원사업을 듣고, 이를 의정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도 부각시켰다.그러나 매년 감사를 실시함으로써 부작용도 속출했다.읍·면·동마다 거의 유사하고 중복되는 질문으로 인해 감사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 또 하루에 4개 읍·면·동을 이동해 감사함에 따라 시간에 쫓겨 ‘수박 겉핥기 식’ 감사가 진행됐다는 비판도 나왔다.
특히 감사자료 유인과 감사장 세팅, 다과 준비 등에 예산과 인력이 낭비된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감사 준비를 위해서는 읍·면·동별로 차이는 있지만 적게는 100만원에서 많게는 2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 평균 150만원으로 계산하면 23개 읍면동의 감사를 위해 3450만원의 예산이 드는 셈이다. 결국 격년제에서 매년 감사를 실시함에 따라 1520여 만원의 예산이 낭비된다는 지적이다.이 같은 지적이 이어지면서 제7대 의회에서도 감사를 격년제로 실시하자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일부 의원들의 반대로 무산됐었다.이에 대해 A시의원은 “제7대 의회 당시에도 하루에 읍면동 4곳을 방문하면서 한 곳당 1시간 내외로 감사가 진행되면서 효율적이지 못했다”면서 “올해부터 격년제 감사로 충분한 시간과 준비를 통해 주민들이 바라는 읍면동 행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견제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