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주에서 ‘에너지 전환의 시대, 원자력 산업의 미래 위상 정립’이라는 주제로 열린 원자력 안전 및 해체산업 육성 국제포럼은 원자력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북도와 경주시로서는 아주 중요한 계기였다.
경북도와 경주시가 세계적인 원전 해체기술의 흐름을 파악하고 경주가 원자력해체연구소(원해연) 최적지로서의 당위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주최한 이번 포럼에는 한국, 미국 등 국내외 8개국 30여 명의 원자력 전문가와 관련 기관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 산업에 대한 전문적인 분야와 미래 산업으로서의 가치와 대응에 대해 논의한 것은 주목을 받기에 충분했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 경북도 역점사업인 동해안원자력안전클러스터 조성과 관련해 경북도, 경주시, 울진군, 영국 에너지 코스트 비즈니스 클러스터(BECBC) 간 원전안전 및 해체산업, 원전 중소기업 기술교류 지원 협력 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포럼 참석자들이 친환경적인 원자력산업 발전 등에 서로 협력한다는 ‘경북원자력 안전 선언’을 채택한 것은 의미가 있었다. 도와 시는 이번 포럼 결과를 토대로 경북의 원전 안전성 등을 국내외에 알리고 원해연을 비롯해 국가 원전안전연구단지 유치에 더욱 주력하겠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경주의 원해연 유치운동은 이미 5년 전인 2014부터 원해연 경주유치위원회 결성, 시민서명운동 등으로 불이 붙었지만 점차 시민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지금까지 정부와 한수원의 눈치만 보고 소극적인 대응을 해 온 것도 원인 중에 하나다. 특히 선거 때만 되면 단골 공약으로 등장했지만 결과는 항상 무의미했다.
이번 선거를 통해 경북도와 경주시, 경북도의회, 경주시의회는 모두 새로운 지도자들이 포진돼 힘찬 출발을 했다. 이철우 도지사와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선거에서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가 공존하는 융합클러스터 조성’을 약속했다. 원해연 문제는 현 정부 들어 더욱 구체화되고 있고 지자체간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눈치만 보고 기다린다면 결국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꼴’이 명약관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경북도와 경북·대구 정치권, 경주시와 경북도민, 경주시민이 하나로 힘을 모으는 것이 최우선이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