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귀농귀촌통계조사’에 따르면 작년 한해 경북도에 2316가구(3469명)가 귀농해 전국 귀농가구의 18.3%를 차지해 2004년부터 줄곧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의성군이 177가구, 상주시 174, 영천시 154, 안동시 136가구이며 경주시는 129가구로 조사됐다. 그리고 귀농인구 중 30~40대가 38%를 차지해 젊은 귀농인의 유입이 점점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경주는 지난 10여년 간 유입된 귀농가구가 720가구에 불과해 진전이 없어 보인다. 전형적인 농촌지역인 군 단위지역을 제외하더라도 시 지역인 안동(1122), 김천(1080), 영천(1190)보다 한참 뒤떨어진다. 주낙영 시장이 지난 2일 민선7기 취임식에서 젊은이가 돌아오는 부자 농어촌 경주 구상을 밝혔다. 특히 청년 농부의 창업농업을 적극지원하고 귀농지원센터도 개설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주 시장이 현재 경주의 농촌의 어려움을 직시하고 이를 타계하기 위한 정책을 내놓은 것은 지극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경주의 농어업환경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무엇보다 경쟁력을 갖춘 농업경제구조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농어촌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는 농촌지역을 점점 슬럼화로 몰고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농어촌의 고령화에 대비하고 농업생산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무엇보다 실질적인 귀농정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주 시장이 취임 시정운영방향 중에 청년 농부 유입을 위한 귀농지원센터를 운영하겠다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여 진다. 그동안 경주시 인구는 계속 감소해 26만 명 선도 이미 무너졌다. 귀농정책이 중요한 것은 농어촌의 정주여건개선과 인구증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이다. 귀농가구 증가 요인이 고소득 작물위주로 농업이 발달돼 농가소득이 높아졌고, 귀농인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농업환경이 마련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정책자금지원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도 한몫을 하고 있다. 즉 교육과 생산, 판매 및 소득, 소비가 제도적으로 보장되면서 귀농인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경주시는 더 늦기 전에 지역실정에 맞는 귀농정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추진을 당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