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원전정책에 따라 월성1호기 조기폐쇄 여부를 결정하는 한수원 이사회가 조만간 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근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해 월성1호기 조기폐쇄와 관련해 약속했던 지역민들과의 소통과 의견수렴 등이 지켜지지 않은데다, 지역경제에 미칠 피해에 대한 대책수립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이유다. 감포읍발전협의회와 발전소 인접 5개 마을, 경주JC, 안강JC, 동경주JC 등 단체장 10여 명은 11일 경주시청 브리핑실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성명을 내고 주민 의견수렴 없는 일방적 월성1호기 조기폐쇄 방침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산자부 장관은 지난해 9월 12일 월성원전 주변지역 주민대표들과의 면담에서 ‘월성1호기 조기폐쇄 문제는 지역민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약속했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민을 무시한 채 한수원을 앞세워 일방적으로 월성1호기 조기폐쇄를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같은 약속을 저버린 정부는 진심으로 지역민들에게 사과하고, 원점에서 월성1호기 조기폐쇄에 대해 지역과 협의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어 “경주시민들은 원전과 30년 넘게 살면서 사고에 대한 두려움도 없지 않았지만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자긍심에서 이를 수용하고 묵묵히 인내해왔다”며 “월성1호기 조기폐쇄에 대해 지역사회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돼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월성1호기 수명연장 당시에도 지역동의를 얻어 추진했던 만큼, 조기폐쇄 또한 지역의 동의를 얻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월성1호기 조기폐쇄 관련해 한수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내부 검토, 이사회 상정 등 일체의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또 모든 사업결정에 투명성을 확보하고, 지역민들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과 정부와 한수원은 주변지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지역발전에 대한 아무런 대책 없이 원전정책을 급격하게 전환한다면 지역경제는 붕괴될 수밖에 없다”면서 “월성1호기 폐쇄로 입게 될 경주지역의 피해에 대해서는 정부와 한수원이 100% 보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들 단체는 월성1호기 조기폐쇄 여부를 안건으로 열리게 되는 한수원 이사회를 저지하기 위해 한수원 정문 앞 집회신고까지 한 것으로 확인돼 향후 상당한 갈등이 불가피해 보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