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전망 [한우] -6∼8월 한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6∼8월 도축 마릿수는 거세우 출하예정 물량과 암소 도축 감소가 예상되어 전년(17만 마리) 동기간보다 3.5% 적은 16만 4000 마리로 전망-도축 마릿수 감소로 6∼8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상승한 ㎏당 1만7700∼1만8700원(생체 750㎏ 환산 818만 원 내외)으로 전망-6~8월 쇠고기 수입량은 한우 도매가격 강세가 예상되어 작년 동기간보다 증가 예상 [돼지] -6월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3월 사육 마릿수는 모돈 수 증가로 자돈 생산이 늘어 전년 동월보다 1.4% 증가한 1116만 마리-6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등급판정 마릿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월보다 1.7% 증가한 7만 톤 전망-6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미국, EU 등 국제가격 하락과 수입 냉동 가공육 수요 지속으로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 3만 6천 톤 전망-6월 돼지 도매가격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에 따른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로 전년 동월보다 하락한 탕박 기준 kg 당 평균 5000∼5300원 전망 [젖소] -2분기 원유 생산량 전년보다 감소 전망, 3분기는 비슷할 듯-6월 젖소 사육 마릿수는 송아지 및 2세 이상 사육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1.5∼2.0% 감소한 40만 6천∼40만 8천 마리로 전망되며, 9월은 전년 대비 0.5∼1.0% 감소한 40만 7천∼40만 9천 마리로 전망- 2분기 원유 생산량은 사육 마릿수 감소로 전년보다 1.3∼2.2% 감소한 52만 4천∼52만 9천 톤으로 전망-3분기 원유 생산량은 젖소 사육 마릿수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2세 이상 사육 마릿수는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수준인 50만 2천∼50만 4천 톤으로 전망 [육계] 6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보다 하락한 1300∼1500원/kg 전망-4월 육용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대비 1.4% 감소한 2만7414톤-4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4.5% 증가한 516만 마리, 종계 총 사육 마릿수는 7.3% 감소한 770만 마리 추정-병아리 생산 증가로 6월 육용계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8.7% 증가 추정-6월 도계 마릿수는 육용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9.2% 증가 전망-도계 마릿수 증가로 육계 산지가격 전년보다 하락한 1300∼1500원/kg 전망-종계 입식 감소로 10월 이후 병아리 생산잠재력 일시적 하락 예상되나, 종계 생산성 향상과 노계 도태 지연으로 11월까지 실제 병아리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도계 증가로 7~8월 육계 산지가격 전년보다 하락할 전망-종계 생산성 향상으로 종란 재고 크게 증가함에 따라 계획적인 입식 조절 필요[산란계] -6∼8월 계란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크게 낮을 듯-6월 산란용 닭 마릿수는 산란 가담 신계군 증가로 전년보다 29.6% 증가한 5770만 마리로 전망됨.-6개월령 이상 산란용 닭 마릿수 증가로 6월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23.8% 증가한 7105만 마리로 전망-6개월령 이상 산란용 닭 마릿수 증가로 6∼8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보다 20% 내외 증가할 것으로 전망-6∼8월 계란 산지가격은 계란 생산량 증가로 전년보다 크게 하락한 750∼900원(특란 10개)으로 전망 [오리] -6~8월 오리 생체 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6∼8월 국내 오리고기 생산량은 육용 병아리 입식 증가로 도압 마릿수가 크게 늘어 전년 동기보다 74.8% 증가한 31,073톤으로 추정-수입량은 국내 오리고기 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14.4% 감소한 673톤으로 전망-6∼8월 산지가격은 오리고기 생산량 증가로 전년보다 큰 폭으로 하락할 전망임. 6∼7월은 4700∼5200원/3kg, 8월은 5000∼5500원/3kg으로 전망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