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누구나 정해진 절차에 따라 소장유물의 열람이 가능하며 편안한 전시 관람도 함께 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연구소가 발굴한 유물을 더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보관·관리·활용하고자 복권기금을 지원받아 출토유물열람센터 ‘천존고(天尊庫)’를 건립했다.
지난 16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김현모 문화재청 차장, 최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이대원 동국대 경주캠퍼스 총장, 권혜경 경주교육지원청 교육장, 김윤근 경주문화원 원장 등 문화재 관계인사와 지자체 단체장 및 지역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주출토유물열람센터 ‘천존고 준공 및 전시개막식’을 개최했다.
천존고(天尊庫)는 원래 신라 시대 왕실의 보물창고로서 왕실의 중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였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제31대 신문왕(神文王, 재위 681~692)이 전설의 피리 ‘만파식적’을 얻어 천존고에 간직했다고 전하고 있다.
이종훈 소장은 환영사를 통해 “천존고는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많은 유물이 신라사를 연구하는 보물로 거듭나길 바라는 연구원들의 바람을 담은 이름이다”며 앞으로 “천존고 개방을 통해 국민이 소중한 문화유산을 더 쉽게 관람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한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천존고 준공식을 기념해 1층 전시실에서는 신라 역사의 전개과정과 신라문화의 발전상을 이해하라 수 있는 ‘덕업일신(德業日新), 망라사방(網羅四方)’ 전시를 개막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현존하는 신라 석비 중 가장 오래된 ‘포항 중성리 신라비’(501년 제작, 국보 제318호)를 비롯해 연구소가 직접 발굴한 유물 중 엄선된 200여 점의 신라시대 유물을 ‘신라 문화의 태동’, ‘옛 무덤에서 찾은 보물’, ‘왕궁의 모습과 생활’, ‘신라사찰과 불교문화’등의 주제로 나눠 선보였다.
유물열람센터 천존고는 2016년 8월에 착공돼 지난해 11월 준공됐다. 규모는 전체 연면적 3935㎡(대지면적 7997㎡)에 지하 1층, 지상 3층이며 내부에는 일반수장고 4실, 특수수장고 1실, 석재수장고 1실을 완비하고 있다. 또한, 소장유물의 열람 공간, 출토유물의 전시 공간, 소규모 회의 공간 등을 함께 갖추고 있다.
이번 전시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www.gch.go.kr)를 참조하거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054-777-8847)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