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우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안전하고 행복한 교육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보다 21% 정도 늘어난 95억 원 가량의 교육경비보조금을 확정했다고 한다. 시는 올해 교육예산이 대폭 늘어난 데에는 그동안 대규모 국·도비 교육시설 투자 유인을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밝혔다. 시는 인구 유입을 위한 안강·외동지역 교육시설 확충, 인성교육 및 자유학기제 활성화, 국제화 교육 및 스마트 에듀케이션, 학력향상 및 특성화 교육, 안전하고 쾌적한 학교생활, 양질의 무상급식 지원 등 6개 대표 지원 분야를 선정해 우선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초·중학생 유출이 심한 안강·외동 지역에 시설비 지원 7억 원을 비롯해 전체 교육경비의 10%이상을 투자해 지역학생의 외부 유출에 적극 대응하겠고 했다. 물론 다양한 교육정책의 내실화와 교사·학생·학부모들의 교육만족도를 위해 예산을 증액한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동안 교육은 중앙정부차원의 교육정책에 편승해 추진된 것이 주를 이뤘지만 지방자치시대가 되면서 지자체의 교육환경이 곧 살기 좋은 지자제로 연결되면서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지자체의 교육환경은 지자체를 지탱하고 있는 버팀목이자 미래의 발전 가능성으로 여길 만큼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지자체에 맞는 교육여건을 잘 갖추었느냐에 따라 지자체의 경쟁력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주만 하더라도 지역 교육환경에 만족하지 못하는 학부모들이 인근 대도시로 자녀들을 보내는 경우가 허다하다. 심지어 초등학생 때부터 자녀교육을 이유로 경주를 떠나는 학부모들도 적지 않다. 이 같은 어린 학생들의 외부 유출은 경주시 인구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환경은 위기를 맞고 있지만 교권보장과 학생인권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교육환경은 성적지상주의와 부모들의 과도한 경쟁이 맞물려 체계적인 인성교육이 외면당하고 있다. 교육은 가정과 학교, 학교 밖 사회가 맞물려야 어린 학생들을 잘 이끌 수 있다. 같은 내용을 두고 서로 엇박자가 나는 교육환경에서 어린 학생들이 바르고 건강하게 성장하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교육감 후보를 비롯한 자치단체장 후보들이 교육환경개선, 교권보장과 학생들의 인권보장, 각종 보조금 확대, 학부모 교육경비 절감 등 많은 공약을 쏟아 내고 있다. 학부모 단체들도 경북 보육과 교육정책 제안을 통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교육을 백년지대계라고 한다. 이는 올바른 교육환경 만들기와 교육공약 실천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각인하고 실천할 때 가능하다고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