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몇 달 전만해도 전쟁의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졌던 한반도에 평화의 햇살이 비춰지고 있다. 나라다운 나라를 기대했던 촛불혁명이 일궈낸 정권교체 덕분이다. 북한과 군사적 긴장을 이용해 정치권력을 공고히 하거나 연장하려는 세력은 국민들을 번번이 불안에 빠지게 만들었다. 진정으로 정권보다 국민들의 안위를 염려하는 정부가 들어서면서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 구축의 디딤돌이 놓이기 시작했다. 정권교체 한 해 만에 전쟁위기가 평화분위기로 반전된 것은 선거에 의한 국민들의 선택과 심판의 결과가 더 없이 중대하다는 것을 반증해준다. 이제 한 달도 남지 않은 지방선거도 마찬가지다. 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된 당선자들은 지역주민들의 삶이 더 나아질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고 집행해야 하는 큰 책무를 지니고 있다. 6.13지방선거는 기존 지방정치권력에 대한 심판이자 변화의 바람을 불러올 수 있는 기회다. 국민들이 새로운 정부가 전쟁 위기 상황을 평화분위기로 전환시키는 것에 감동하는 것처럼 지역의 유권자들 역시 당선자들이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여건변화와 침체 위기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긍정적으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펼쳐주길 기대하고 있다. 당선에 급급하여 실현 가능성이 어려운 공약과 그럴듯한 언변으로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려고 했다가는 큰 낭패를 보게 될 것이다. 과거와 다르게 유권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후보자들의 면면을 속속들이 알 수 있는 세상이다. 그러니 지연, 학연, 혈연과 같은 연고주의에 얽매이는 것과 같은 어설픈 선거 전략보다 지역의 현안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여 그 대안을 실현하기 위한 진정성을 보여줄 때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 지금까지 경주와 같은 중소도시에서는 연고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소위 조직이 튼튼한 후보자가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소셜네트워크가 활발해지고 개방된 사회가 되면서 주민의 요구와 지역의 실정을 정확하게 파악한 정책을 실현시킬 후보가 주민의 지지를 받는 세상이 됐다. 후보자들은 나름대로 지역발전을 위해 다양한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은 후보등록 이후 토론회를 통해 검증받겠지만, 선거과정에서 생겨난 갈등을 해소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선거도 치르기 전에 나타난 공천결과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어 선거 후가 벌써부터 걱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선 후 사분오열된 지역민심을 추스를 방법과 능력을 선거과정을 통해 보여주어야 한다. 선거과정에 생겨난 갈등을 해소하고 주민여론을 수렴하는 일은 후보자가 당선 후 정책을 실현하는 원동력이 된다. 주민여론의 분열이 지역발전에 장애를 가져온 사례는 방폐장 유치에 따른 3대 국책사업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한 데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공공기관 이전에 의해 혁신도시가 조성되고 있는 주변도시의 변화를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온갖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방폐장을 유치한 결과를 냉정하게 되돌아봐야 한다. 그래야 이번 지방선거가 경주발전의 전환 기회가 될 수 있다. 3대 국책사업뿐만 아니라 국가가 약속한 경주역사문화도시 조성,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고도보존 및 육성 등과 같은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원인을 후보들이 찾아 그 대책을 제시해야한다. 기존에 추진되는 사업에 더하여 한반도 평화구축과 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 관광성향 변화, 동해남부선과 중앙선 이설과 같은 광역철도망 변화에 따른 지역발전 전략도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6.13지방선거에서는 어렵게 유치한 국책사업이 지역발전을 위한 성장의 매개역할과 확산효과를 가져오지 못한 원인을 찾아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는 기회가 되어야 하고,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한 공약을 준비하여 지역발전의 전환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