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절반 가까운 쓰레기를 수입하던 중국이 재활용 폐기물 수입을 금지하자 지자체마다 쓰레기 문제로 홍역을 앓았다. 그럼 경주시는 폐 쓰레기 문제에서 자유로울까? 올해 초 중국발 쓰레기 수출이 중단되면서 쓰레기 문제가 불거졌다. 중국 생태환경부는 지난 19일 폐 PET병과 폐선박, 폐차 등 고체폐기물 32종을 올 연말과 내년 연말 두 차례에 걸쳐 16종씩 ‘수입 제한 목록’에서 ‘수입 금지 목록’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7월 생활 폐비닐, 폐신문, 폐직품, 바나듐 부스러기 등 4종류 24개 고체폐기물 수입을 올해부터 중단한데 이어 3년 연속 폐기물 수입 줄이기에 나선 것이다. 중국의 폐기물 수입이 막히자 중국으로 가지 못한 여러 국가의 폐기물들이 우리나라로 몰리게 됐다. 외국산 폐기물이 수입과 함께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재생원료, 연료 등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가격이 저렴하고 품질이 균질한 외국산을 선호하면서 국내산 가격이 하락하게 된 것이다. 가격이 하락하자 폐 PET병과 비닐 등을 수거하는 업체들이 수거를 중단하면서 재활용 폐기물 홍역을 앓게된 것이다. 하지만 경주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지역은 수거 업체들이 폐 PET 등을 수거하지 않고 시에서 전량 수거하고 있다. 경주시에 따르면 하루 1톤의 폐비닐과 7~8톤 정도의 폐 PET 등 1년 3000여 톤 정도를 시에서 직접 수거하고 있었다. 이 수거된 쓰레기 가운데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재활용 업체에 입찰을 통해 매각하고 나머지는 소각장에서 소각한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수거된 폐플라스틱과 종이 등은 공개 입찰을 통해 50% 가까운 양을 업체에 팔았으며 나머지 50%는 소각장에서 소각됐다”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절반 가까이는 업체에서 수거해 가지만 나머지는 소각해 쓰레기 처리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쓰레기 수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업체에서 쓰레기 수거와 관련해 수익성 악화 등으로 매입 불가 요청은 없었다. 만약 가격 하락과 처리 문제로 입찰이 어려워진다면 수의계약 등을 통해 낮은 가격에 업체에 반출한 예정이다”면서 “업체가 가져가지 않더라도 하루 200톤 가량 소각할 수 있는 소각장이 현재 150톤 정도 운영돼 폐기물 처리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시에서 수거한 폐 PET병 등을 매입하는 곳은 대부분 타 지역 업체들이다. 시에 따르면 고령, 대구, 포항, 울산 등지에서 입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주는 입찰에 응찰한 업체는 있지만 실제 낙찰로 이어지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최고가 입찰의 특성상 규모가 크지 않은 지역 업체에서 계약을 따기는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