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정부의 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맞춰 찾아가는 읍면동 복지센터 운영을 전면 시행한다. 시는 정부 복지정책 방향에 부응해 공적지원이 어려운 복지사각지대를 발굴 해소하고, 공공과 민간의 연계를 통한 지속가능한 복지실현을 위해 읍면동을 중심으로 복지허브화 계획을 발 빠르게 추진해 왔다. 지난 2016년 북경주행정복지센터를 개청하고 기존 복지행정팀과는 별도로 복지허브화를 전담하는 맞춤형복지팀을 신설했다. 지난해 용강동과 월성동에 이어 이달부터 외동읍, 선도동, 황성동에 맞춤형복지팀 운영을 시작함으로써 23개 읍면동 전 지역에 찾아가는 읍면동 복지센터 구축을 완료했다. 경주시가 추진하는 방향은 중심 읍면동 맞춤형복지팀을 구심점으로 인근 일반 읍면동을 하나의 권역으로 설정하는 권역형 모델이다. 안강(강동), 용강(현곡, 천북), 월성(내남, 황남, 불국, 보덕), 외동(감포, 양남, 양북), 선도(건천, 산내, 서면, 중부), 황성(동천, 황오, 성건) 등 총 6개 권역으로 운영된다. 맞춤형복지팀은 행정과 단순 복지업무 중심이었던 읍면동주민센터가 지역 복지의 중심이 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지원을 비롯한 민관협력 및 복지자원 관리, 통합사례 관리, 복지사각지대 발굴, 지역특화사업 발굴 등 주민에게 한발 더 다가가는 신속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주민참여 네크워크 조직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인적·물적 민간복지자원을 발굴하고,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의 실정에 맞는 맞춤형 지원 등 예방적인 현장 밀착형 복지서비스를 시행한다. 한편 시는 현장중심 복지행정 구현을 위해 읍면동 복지차량 지원도 늘린다. 지난해 10개소에 차량지원을 마쳤으며 올해 13개소 지원을 통해 전체 읍면동에 차량 지원을 완료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