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夏禮吾能言之 杞不足徵也 殷禮吾能言之 宋不足徵也 文獻不足故也 자왈 하례오능언지나 기부족징야며 은례오능언지나 송부족징야니라 문헌부족고야라.足則吾能徵之矣족즉 오능징지의니라.<주석> 杞 :周 나라의 封國, 주 나라의 무왕이 천자가 되고서 하 나라의 후예를 기에다 봉하였다. 徵 :證驗이다. 宋 :周 나라의 封國. 주 나라의 무왕이 천자가 되고서 商 나라의 후예를 송에다 봉하였다. 文獻 :文은 典籍을 가리키고 獻은 賢人을 가리킨다.<번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나라의 예는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기 나라는 족히 증험할 수 없다. 은나라의 예는 내 능히 말할 수 있으나 송나라는 족히 증험할 수 없다. 문헌이 부족한 까닭이다. 족하다면 내 능히 증험하리라.<묵상> 문헌의 중요성을 말씀하고 있다. 아무리 공자님이라고 하여도 문헌이 부족하다면 그 역사를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 발해에 대하여 너무 모르는 것이다. 문헌이 부족한 연고이다. 나라가 망하면 대개 그 역사마저 묻히고 만다. 국가만이 그런 게 아니다. 모든 사회의 조직이나 기관이나 단체가 다 그런 것이다. 문헌만이 가장 신빙성이 있는 자료가 되는 것이다. 이 문헌을 남기는 것은 역사의식이 있어서만이 가능한 것이다. 우리는 아무래도 이 의식이 좀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런데 위의 글을 좀 다르게 해석하는 학설이 있다. 곧 이를 읽음에 ‘하례오능언’으로 끊고 ‘지기부족징야’로 읽는 것이다. 뒤의 은례 이하도 같은 예이다. 그럼 어떻게 되는고? 하니 ‘하례는 내 능히 말할 수 있다. 기에는 가보아도 징험할 수가 없다’가 되어 더 합리적인 글이 되는 것 같다. 之는 간다는 뜻으로 고어에서 더러 쓰이었고 또 논어에서도 쓰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너무 무리한 해석이란 게 중론이다. 또 위의 주석과 같이 ‘文獻’에서 文을 기록으로 보고 헌을 현인으로 보아 구술 자료라고 하는 학설이 있으나 이 역시 좀 지나친 견강부회가 아닌가 여겨진다. 하지만 이 모두 복잡하고 어려운 전문 학설이라 생략한다.-子曰 禘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자왈 체자기관이왕자는 오불욕관지의니라.<주석>禘 :임금이 5년에 지내는 큰 제사의 이름이다. 太廟에서 지낸다.灌 :울금초((鬱金草) 즙으로 기장과 합쳐 만든 술로써 땅에 부어 신을 내려오게 하는 것이다.<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노국에서 매 5년마다 지내는 체의 제사에서 술을 땅에 붓는 예를 마친 뒤에는 제사하는 사람들의 정성과 공경함이 이미 흐트러지니 나는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묵상> 제사에는 공경함이 중요하다. 예배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노나라 사람들이 5년만에 지내는 큰 제사임에도 처음에는 조금 정성과 공경함을 가지나 술을 땅에 붓는 강신의 의식만 지나면 곧 해이해지니 공자는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제사에서의 공경을 강조하는 것이다. 어느 시대, 어떤 제사에서나 다 마찬가지이다. 제사에는 정성과 공경이 앞서야 하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