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가 2일부터 기초단체장(시장), 기초의원(시, 구의원) 예비후보등록이 시작되면서 경주지역도 본격적인 선거 정국에 들어가게 됐다. 4년 전 6.4지방선거 때에는 정당공천을 거쳐 시장과 도의원, 시의원 후보 등 총 54명이 출마했으며 이번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지역에서 자천타천으로 거론되고 있는 출마예상자는 시장후보가 6~7명, 도의원 후보가 각 선거구별(경주는 4개 선거구)로 2~3명, 시의원 후보는 전체 선거구(9개 선거구 예상) 총 50여 명에 달하고 있다. 경주지역은 도의원, 시의원 선거구 획정이 아직 최종적으로 결정되지 않았지만 4년 전 선거 때와 비교하면 선거구의 소폭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동안 전국 시·군의회에서 기초의원 공천제 폐지를 강력하게 요구해 왔지만 이번 지방선거도 기초의원 정당공천제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경주지역 지방선거는 지난 대부분의 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이 강세를 보여 왔으며, 이번에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예비후보들 간 공천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죽하면 경주선거는 특정정당의 공천이 확정되기 전까지가 진짜 선거라고 하겠는가? 이번 지방선거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해 적잖은 충격을 받은 대구, 경북지역의 민심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선거가 될 것으로 보여 진다. 경주에는 그동안 지방선거에서 시장후보를 잘 내지 못했던 더불어민주당에서 후보가 활동하고 있고, 일부 시의원 선거구에도 민주당으로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들도 있어 여느 지방선거 때보다 주목을 받고 있다. 지방선거는 주민의 여론을 바탕으로 주민자치권 강화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공천에만 올인하는 선거풍토가 된지가 오래됐다. 이러한 문제는 지방의회 무용론까지 대두되기도 했다. 지역을 위해 봉사하겠다며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은 특정정당의 공천에만 목메는 선거가 되곤 했다. 지역을 위해 일하려는 선거직들이 주민들의 바람보다 오로지 공천에만 의존하는 선거 풍토가 지속되는 한 경주의 변화는 더딜 것이다. 따라서 이번 경주지역 선거에 출마를 준비하는 예비후보들은 공천여부를 떠나 시민들에게 출마의 당위성과 각오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그 의지를 민심을 잡는데 쏟아야 한다고 본다. 지방선거 때마다 예비후보들이 공천을 받기 위해 밀물처럼 밀려왔다가 공천이 확정되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선거판으로는 결코 경주의 지방정치는 진전되지 못한다고 본다. 이제 선거판을 펼쳐졌고 조만간 각 정당별로 공천을 하게 된다. 이번 경주선거는 공천선거가 아닌 시민들의 선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