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고추·양파 가격 전월 대비 약보합세, 마늘·대파는 강보합세 마늘·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 건고추 재배의향은 감소, 대파는 증가 전망 4월 건고추 화건 상품 600g당 도매가격은 재고량이 많아 전년, 평년보다 낮고 전월(7740원) 대비 약보합세 전망. 4월 산지가격은 전년, 평년보다 낮은 수준 지속 전망. 2016년산 고추 재배의향면적은 건고추 산지가격 하락 등으로 2015년산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조사. 3월 말 기준, 2015년산 난지형 마늘 재고량은 생산량 감소로 평년보다 적은 약 2만 톤 추정. 4월 마늘 난지형 마늘 도매가격은 재고량이 적고, 봄철 수요 증가 요인이 있어 전월 대비 강보합세인 상품 kg당 5800~6200원 전망. 2016년산 마늘 단위당 수확량은 생육 상황이 좋아 전년 대비 5% 증가하고,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전년보다 11% 증가한 29만5000톤 내외 전망. 4월 양파 공급량은 조생종 출하량이 증가하나 저장양파 출고량 감소로 전년, 평년보다 적을 전망. 4월 양파 도매가격은 공급량 감소로 평년보다 높으나, 조생종 출하량이 증가해 3월보다 하락한 1050~1250원/kg 전망. 2016년산 조생종 양파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로 전년보다 22%가량 많은 약 15만4000톤 내외 전망. 4월 대파 출하량은 출하면적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7% 감소 전망. 4월 대파 도매가격(가락시장)은 겨울대파 출하량 감소로 평년보다 높고, 전월 대비 강보합세인 2100~2400원/kg 전망. 3~6월 대파 정식의향면적(7월~내년 5월 출하분)은 전년도 출하기 대파 가격 상승으로 전년보다 8% 증가 전망. 겨울대파 주산지인 호남은 정식의향면적이 전년 대비 5% 증가하고, 여름·가을대파 주산지인 경기·강원은 13% 증가해 8~11월 출하량은 전년보다 증가 가능성. 배추, 무 가격은 월동작형, 저장 출하량 감소로 평년보다 높을 전망 4월 가격은 월동배추 저장 출하량이 작년보다 49% 적어 작년과 평년보다 높은 1만1000원/10kg 내외 전망. 봄배추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25% 증가, 고랭지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 감소. 4월 가격은 월동무 산지 및 저장 출하량이 작년보다 32% 적어 작년과 평년보다 높은 1만5000원/18kg 내외 전망. 봄무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38% 증가, 고랭지무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6% 감소. 4월 가격은 저장고랭지감자 출하량 증가로 작년보다 낮으나, 평년과 비슷한 3만7000원/20kg 내외 전망. 봄감자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9% 증가, 고랭지감자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7% 증가. 4월 가격은 겨울저장당근 출하량 감소로 작년보다 높은 2만2000~2만7000원/20kg 전망. 봄당근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4% 감소, 고랭지당근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6% 증가. 4월 가격은 겨울양배추 출하량 감소로 작년과 평년보다 높은 8000~9000원/8kg 전망. 봄양배추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2% 증가, 고랭지양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5% 증가. ------------------------------------------------------------------------ 자료제공=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