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동해안발전본부 이전추진위원회가 동해안권 4개 시·군에 대한 평가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포항시를 동해안발전본부 이전지역으로 최종 선정·발표했다. 적합성, 접근성, 파급효과성, 지자체의 의지 등을 평가한 결과 포항시가 가장 적지라고 했다.
포항시에 들어서는 동해안발전본부는 경북도청 내 동해안발전정책과를 비롯해 해양항만과, 수산진흥과, 독도정책관 등 4개과 62명이 근무하는 국단위 조직이다. 경북도청 안동 신청사 이전과는 별도로 당분간 대구 산격동 청사에 남아 청사신축 등 이전실무를 총괄하고 있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경북도청 제2청사 동남권유치 경주위원회는 동남권 발전전략에 대한 제대로 된 논의를 하고 제2청사의 기능에 준한 복합행정타운 건설로 새롭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북도는 동해안발전본부가 제2청사 성격이 아니며 추후 논의할 사안이라고 했지만 나중에 제2청사를 만들더라도 이미 입지가 정해졌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경북도의 동해안발전본부 추진이 공론화되지 못했고 용역결과 또한 설득력이 부족할 정도로 긴급하게 진행됐기 때문이다.
경북도가 제2청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먼저 경주와 포항, 영천, 경산, 청도 등 동남권 도민들의 요구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현재 경북도 인구는 275여 만명에 달한다.
이중 경주와 포항, 경산, 영천 등 동남권지역 도민들은 절반이 훨씬 넘는 150여 만명에 달한다. 경북도내에서 주요 인구밀집지역이다. 특히 동남권은 경북도가 야심차게 추진중인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와 철강, 문화, 관광, 농축수산 산업의 중심지다.
다시 말해 경북도정 전체 행정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지역인 셈이다. 북부권으로 이전한 도청은 지리적으로 접근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돼 동남권 도민들에게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적잖은 낭비가 예상된다.
경북도청 제2청사와 관련해 유독 경주시민들이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경주는 역사와 문화, 관광, 에너지클러스터, 원자력 분야 등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특히 글로벌화를 지향하고 있는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중심이라는 당위성 때문이다.
경북도청 이전은 웅도 경북을 실현하기 위해 내딛은 힘찬 걸음이었다. 경북도는 이러한 맥락에서 동남권의 지리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을 고려해 제2청사의 동남권 배치를 깊이 인식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중차대한 현안은 행정편의에서 검토할 것이 아니라 시·군의 행정수요와 도민들의 바람을 함께 살펴 추진하는 능동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 경북도는 동남권 도민들의 제2청사 요구를 단순히 지역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만 치부하지 말고, 세계 속의 경북을 지향하는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길 비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