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의 목적? 우리사회에 존재하는 평가수단 ‘시험’ 무엇이 문제인가? 시험의 목적은 무엇일까? 시험이란? 시험은 외적 동기다./ 시험은 내적 동기다./ 인간을 줄 세우는 수단이다./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학교를 지옥으로 만들어 버린다./ 사람을 죽게 만든다./ 죽고 싶다./ 기분이 좋다. 여러분들도 자녀들과 함께 이 질문에 대하여 깊이 있는 생각과 토론을 통하여 생각을 나눠보시기 바란다. 우리사회는 경쟁사회임에 틀림없는 사실이다. 경쟁은 인간을 성장하게 하고 우리사회를 더 발전하게 만드는 견인차 역할을 한다. 조직사회에서는 서로 경쟁하고 비판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기존의 사실과 학설과 법들과 모든 것들을 비판하거나 부정해야만 새로운 사실과 학설과 법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태초부터 모든 인간은 이익을 갈구한다. 이는 모두 인간의 욕심, 욕구에서 나온다.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에 의하여 생산 활동을 한다. 인간의 욕구와 욕망은 끝이 없어서 더 빨리, 더 많이 소유하고자 했다. 인간의 소유욕을 채워주기 위하여 기업이라고 하는 생산 활동의 조직이 생겨났다. 대량생산과 가격경쟁력에 의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생산을 할 수 있는 기업만이 살아남게 되었다. 생산 활동에 필요한 맞춤형 인간들의 노동력이 필요했고 생산 활동에 적합한 인적자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교육하고 가르치기 시작했다. 인적자원개발론이란 과목으로 말이다. 교육에 있어 모든 인간들의 능력에 차이가 있고, 학습하여 실행하는 능력도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생산에 적합한 인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이라는 제도가 생겨났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산업현장에서의 생산 활동을 원하게 되었다. 일자리 보다 일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면서 선발을 위한 시험은 발전하게 되었다. 지원자들 중 기업의 생산 활동에 필요한 인재를 선발하는 목적으로 시험이 이루어졌다. EBS에서 방영한 다큐 ‘시험’을 본 후 ‘선진국의 시험 목적과 우리나라시험 목적의 차이는 무엇일까?’에 대하여 토론한 적이 있다. 부러워하면서도 많은 토론 끝에 우리는 철학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선진국 시험 목적은-생각하는 시험, 나를 평가하는 시험 등..., 우리의 시험 목적은-답 외우는 시험, 구분하기 위한 시험 등..., 시험은 ‘스스로가 지금까지 배우고 익힌 것에 대하여 얼마만큼 성장했는가?’를 알아보는 목적으로 만 활용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기업의 성장에 필요한 인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험이 필요하다. 생각하는 즉 많은 지식과, 창의적인사고 지혜로운 판단, 그리고 실천하는 슬기로운 인재를 평가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선진국으로 가기 위한 그리고 미래사회가 원하는 인재육성에 가장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창조국가, 창업시대로의 새로운 도약이 필요하다. 이 시대를 살아갈 인재육성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시험의 목적도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