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요구를 왜곡한 중간 용역 결과가 나와 원성이 높아지고 있다. 동국대 갈등치유연구소는 지난 4일 양남 이주대책위 농성 천막에서 ‘발전소인근지역 주민 집단이주제도의 타당성 고찰 및 합리적 제도개선 방안 연구’라는 주제로 주민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는 용역 조사를 실시한 동국대 갈등치유연구소 소속 연구원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를 설명하고 주민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였다. 연구원이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자 간담회에 참석한 주민과 경주환경운동연합, 시의원, 원자력 안전분야 관계자 등은 설문조사 결과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들은 질문지의 적절성, 설문 대상자의 적절성, 잘못된 사례, 이주는 필요 없다는 전제 등은 문제가 있다며 주민들의 의견을 왜곡하지 말고 올바른 반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자력 안전분야 관계자는 “용역 처음부터 ‘원전과 암 발생은 상관없다’는 식의 원전 주변 지역 외국 사례를 먼저 소개하는 의도는 집단이주가 필요 없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라며 “원전 주변 백혈병 발생은 입증된 연구조사결과가 많은데도 원전과도 상관없는 것처럼 결론 내는 것은 한수원 대변인을 자처하는 것이며 이주를 원하는 주민들의 요구를 왜곡하는 증거다”고 말했다. 또한 “집단이주제도의 타당성과 제도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해놓고 이주와 상관없는 지역주민을 더 많이 인터뷰해 초점을 흐리고 있다”면서 “집단이주를 원하는 사람과 상관없는 지역 주민을 함께 설문조사해 결국은 경제적 문제(보상)로 몰아가려는 저의가 보이는 용역 조사”라고 말했다. 그리고 “설문 내용 중 선택지에 이주가 아니라 경제적 보완 등의 문제가 답변에 나와 있어 주민들이 이주를 원한다는 내용의 답변을 선택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면서 “이런 설문조사 결과는 주민을 기만하는 나쁜 형식의 설문조사의 전형이다”고 주장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이상홍 사무국장은 “설문지 결과에는 이주를 희망하는 주민들에게 복지 및 신뢰 회복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방향 설정하고 있지만 이주민들에게는 이주가 필요하다”면서 “올바른 주민 의견이 적극 반영된 보고서가 나와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국대 갈등치유연구소 오영석 교수는 “조사 결과에 도움을 준 주민들에게 감사 인사를 하러 간 것이지 용역 결과 주민설명회는 아니다”면서 “이번 용역은 울진 주민들의 요구로 용역이 이뤄진 것이며, 경주도 집단 이주를 요구해 연구를 확장해서 한 것으로 경주는 안 해도 되는 연구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용역은 최종 보고서가 아니기 때문에 언론에 유출돼선 안 되며 주민 의견을 최종 보고서에 반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