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아울렛 보문입점을 앞두고 경주 중심상가 상인들의 집단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도심상가연합회 회원들은 최근 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경주시가 보문 아울렛 시설허가를 철회하고 자신들의 생존권을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현재도 몇몇 상점을 제외하고는 현상유지도 안될 만큼 어려운데 보문에 명품을 취급하는 대형매장이 들어오면 지역 상가가 모두 망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사업주 측은 ‘관광진흥법 및 건축법상 하자가 없는데도 일부 상인대표들이 설립을 반대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또 ‘경주시민들을 대상으로 아울렛 설치에 대한 여론조사를 한 결과 84.6%가 찬성했다며 그 내용도 공개했다. 이들은 합법적인 사업에 대해 집단민원을 통해 반대한다면 누가 경주에서 투자하고 사업을 하겠느냐’는 논리다. 또한 사업을 지연함으로써 발생할 피해손실에 대해 법적대응도 불사하겠다고 한다.
참으로 난감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주시의 입장에서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사업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 행정소송으로 이어질 것이 뻔하고 손해배상까지 걱정해야 할 입장이 됐다. 그렇다고 도심상인들의 사정을 모른 척 할 수도 없을 것이다. 경주시가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속앓이를 하는 이유가 여기 있을 것이다.
다만 상가의 대형화는 이미 대세이고 경주의 경우 이러한 흐름을 오히려 경주발전의 계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미리 예측하고 좀 더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준비가 아쉽다. 도심상가 상인들이 결사적으로 반대하는 이유는 아울렛 입점도 그렇지만 장기간 침체에 빠진 도심상권에 경주시가 변변한 대책을 신속히 추진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풀이된다.
아무리 꼬인 일에도 서로 적극적인 자세로 나서면 풀리게 마련이다. 경주시는 도심상권 상인들을 설득하고 납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간을 아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