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1월 설립을 앞두고 있는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하 방폐물관리공단)을 수도권 또는 대전이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이 들어서는 지역에 두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논란이 일고 있다. 그리고 지난 17일 백상승 시장과 이진구 의장이 월성원자력발전소를 방문하기 위해 울산공항에 도착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을 만나 방폐물관리공단 경주설치와 방폐장 유치에 따른 지원사업의 예산확보 등을 요청했다. 이진구 의장은 “백 시장은 이날 이 장관에게 경주에는 전국 고준위 폐기물의 54%가 저장돼 있을 뿐만 아니라 방폐장, 한수원 본사 등 방폐물과 관련된 것들이 모두 집중되고 있으므로 신설되는 방폐물관리공단 본부도 경주로 와야 한다고 강조했으나 이 장관은 이 부분에 대해 어떠한 답변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본지 보도(5월 31일)이후 경주시와 지역시민사회단체에서는 한수원 본사,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 4기의 원전, 50%가 넘는 고준위폐기물이 임시 저장되어 있는 경주에 방폐물관리공단이 당연히 와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해 왔다. 그러나 방폐물관리공단 본부사무소는 수도권 또는 대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정부와 한수원 방폐물관리공단 준비위 관계자들이 ‘관리공단이 처음 발족되면 기금 확보 등 정부 부처와 논의해야 할 업무가 산적해 지방으로 내려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들은 또 “설령 지방으로 간다고 해도 원자력 부분 연구소가 많은 대전이나 앞으로 정부 및 방폐물관리공단 출범 후 추진할 고준위 방폐장 유치지역에 묶여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현재 정부 등 내부 기류도 이런 방침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경주희망시민연대 김성장 대표는 “정부가 중저준위 방폐장을 유치하면 온갖 혜택을 다해줄 것처럼 해놓고 지금까지 제대로 해준것이 무엇인지 의구심이 든다”며 “폐기물관리공단 업무가 사실상 한수원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인 만큼 한수원 본사가 오는 경주로 오는 것이 당연하며 정부가 다른 생각을 갖는다면 원전과 방폐장 관련 사업들이 경주시민들로부터 강력한 저항에 부닥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성주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