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공모를 통해 추진 중인 시립화장장 현대화사업의 부지 공모 결과 12곳에서 신청하고, 현곡 오류에 신청했던 한 사업자가 취소하여 결국 화장장부지 신청자는 11곳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대부분의 신청자가 해당지역주민들의 여론수렴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고 사업을 신청해 곳곳에서 주민들의 집단반발을 사고 있다. 이에 대해 추진과정에서 주민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없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애당초 경주시가 30억원의 상금을 내 걸고 의욕적으로 시립화장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 데에는 주민들의 자율의사에 의한 유치 희망지역이 나오기를 기대하면서 이 사업을 성공리에 추진하자는 좋은 의도에서였다. 그런데 결과는 경주시의 의도와는 다르게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사업부지 신청 조건에 주민의견수렴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과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사전에 주민의사가 반영되게 했었어야 했는데 그러한 기준 없이 주민의사와 아무런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사업신청자는 늘었겠지만 사업성공이 불투명하고 또 주민반발에 대한 뒷감당을 고스란히 경주시가 떠 안아야하는 어려움을 자초하게 된 것이다.
좋은뜻을 갖고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익사업을 추진한다고 할지라도 그 과정이 투명하고 정당하지 않으면 여론은 물론 시민의 공감을 얻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쓰레기매립장이나 화장장 같은 누구나 반드시 요긴하게 이용해야하는 필수적인 공공시설이면서도 인근 지역주민들이 꺼리고 기피하고 혐오스럽게까지 여기는 시설의 경우는 더욱더 그렇다.
따라서 결과보다 그 과정에서 빚어질 각종 문제들에 대한 세밀한 준비가 중요하고 그것이 곧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기 마련이다.
설사 그 과정이 더디고 힘들더라도 주민의사가 반영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것이 가장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이며 시민들의 공감은 물론 사업 성공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