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초보은   고사성어에 결초보은이란 말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은 뒤에도 은혜를 저버리지 않고 보답한다는 뜻이다. 중국 춘추시대에 진나라 위무자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본부인이 죽자 둘째 부인을 얻어 본부인의 아들인 위과와 함께 살았다. 위무자가 병에 걸려 죽음이 가까워오자 아들 위과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내가 죽거든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둘째 부인을 개가 시키도록 하여라” 그러나 병이 아주 위독해지자, 위무자는 다시 아들을 불러 말을 이렇게 바꾸었다. “내가 죽으면 너의 계모도 함께 순장시키도록 하라” 그 유언을 들은 위과는 깜짝 놀랐지만 겉으론 태연하게 여겼다.    그리고 며칠 후 위무자는 죽었다. 그러나 위과는 아버지의 마지막 말씀대로 계모를 순장하지 않고 아버지 처음 말씀에 따라 개가시켜버렸다. 계모는 위과가 아버지의 유언을 따르지 않고 개가시킨데 대하여 의아해 하면서 그 이유를 물어보았다. “위과는 어찌하여 어버지의 유언대로 하지 않았소?” 유과의 대답은 간단했다. “사람은 죽음을 앞에 두면 정신이 흐려집니다. 아버지께서 평소 정신이 맑았을때 하신 말씀을 따른것 뿐입니다”    얼마후 위과는 장군이 되었고 진나라 환공에 두회를 앞세워 진나라를 공격했다. 이 싸움에는 위과는 참패했고, 목숨마저 위태롭게 될 지경에 이르렀다. 위과는 두회를 피해 사생결단으로 도망을 쳤는데, 뒤쫓아오던 두회가 갑자기 풀밭에 쓰러져서는 심하게 다쳐서 일어날 수가 없었다. 위과는 달려가 두회를 붙잡고 그 주위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뜻밖에도 풀들이 모두 서로 엮어 묶어논 상태였다. 두회는 엮어놓은 풀에 걸려 넘어진 것이었다.    그날 밤 위과는 꿈속에서 어느 노인을 만났다. “몇년전에 자네의 계모를 시집 보내준 적이 있지 않소. 그 사람이 바로 나의 딸이랍니다. 그때 자네 아버지의 유언대로 내 딸을 무덤속에 함께 묻지않고 살려준 보답으로 내가 풀들을 묶어 자네를 도운 거라네” 노인은 이렇게 말하고 사라졌다.    결국 결초보은이란 죽어 혼령이 되어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뜻이며 흔히 쓰는 말로 ‘만약 지금 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 준다면 나중에 반드시 결초를 해서라도 은혜를 갚을(보은) 것이다’ 라는 말을 자주 쓰고 자주 듣게 된다.    새해를 맞이하면서 과연 나는 지난해 살아오면서 그런 사람들을 잊지 않고 은혜를 갚은 일이 있는가? 아니면 감탄고토라고 은혜를 거슬리는 일은 없었는가? 곰곰히 생각하면서 새해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원수는 가슴에 새기고 은혜는 물에 새긴다”는 명언의 말씀은 우리 생각을 완전히 새롭게 여기는 말이다. 늦은 감이 있을 때가 빠르다고 하지 않았던가. 전화 한통이라도 나누면서 은혜에 보답하는 길은 바로 인간이 가야할 길임을 우리 모두가 명심하면서 살아야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