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 太公曰 男子失敎 長必頑愚 女子失敎 長必추鹿疎
(태공왈 남자실교 장필완우 여자실교 장필추록소)
태공께서 말씀하셨다. 남자가 가르침을 받지못하면 자라서 반드시 미련하고 어리석어진다. 여자가 가르침을 받지 못하면 반드시 거칠고 솜씨가 없다.
106. 男年長大 莫習樂酒 女年長大 莫令遊走
(남년장대 막습악주 여년장대 막령유주)
남자가 장성하거든 풍류나 술 먹기를 배우지 못하게 하고 여자가 장성하거든 놀러다니지 못하게 하라.
107. 嚴父 出孝子 嚴母 出孝女 (엄부 출효자 엄모 출효녀)
엄한 아버지는 효자를 길러내고 엄한 어머니는 효녀를 길러낸다.
108. 憐兒 多與棒 憎兒 多與食
(연아 다여봉 증아 다여식)
아이를 사랑하거든 매를 많이주고 미워하는아이에게는 먹을 것을 많이 준다.
109. 人皆愛珠玉 我愛子孫賢
(인개애주옥 아애자손현)
세상 사람들은 모두 귀중한 주옥을 사랑하지만 나는 자손 어진것을 사랑한다.
- 省心篇 (성심편) -
110. 景行錄 云 寶貨 用之有盡 忠孝 享之無窮
(경행록 운 보화 용지유진 충효 향지무궁)
경행록에 이르기를 보화를 쓰면 다함이 있으나 충효는 아무리 누려도 다함이 없다.
111. 家和貧也好 不義富如何 但存一子孝 何用子孫多
(가화빈야호 불의부여하 단존일자효 하용자손다)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지만 의롭지 않다면 부유한들 무엇하랴, 단지 한 자식이라도 효도 한다면 자손 많다고 무슨 소용 있으랴
112. 父不憂心因子孝 夫無煩惱是妻賢 言多語失皆因酒
(부불우심인자효 부무번뇌시처현 언다어실개인주
義斷親疎 只爲錢
의단친소 지위전)
아버지의 걱정없는 마음은 자식의 효도 때문이고 남편의 번뇌없는 마음은 아내가 어질기 때문이다. 말이 많아서 실수하는 것은 다 술 때문이고 의가 끊어지고 친했던 사이가 멀어지는 것은 오직 돈 때문이다.
113. 旣取非常樂 須防不測憂
(기취비상락 수방불측우)
이미 심상치 않은 즐거움을 얻었거든 모름지기 해아릴 수 없는 근심이 생긴것에 대비하라.
114. 得寵思辱 居安廬危
(득총사욕 거안여위)
사랑을 받을 때에는 욕됨을 생각하고 편안히 지낼 때에는 위태롭게 되지나 않을까 생각하라.
115. 榮輕辱淺 利重害深
(영경욕천 이중해심)
영화가 가벼우면 욕됨이 얕고, 이익이 많으면 손해도 깊다.